동적 쿼타할당방식 HMR을 적용한 GFC 프로토콜의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GFC Protocol Based on HMR with Dynamic Quota Allocation

  • 두소영 (대우고등기술연구원 정보통신실) ;
  • 전병천 (한국전자통신연구소) ;
  • 김대영 (충남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
  • 김태균 (충남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발행 : 1994.07.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Gbit 매체접근데어 프로토콜인 HMR(High-speed Multimedia Ring)의 퀘타 할당방법을 변형 적용하여 B-ISDN의 GFC(Generic Flow Control) 프로토콜로 제안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된 프로토콜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HMR 프로토콜은 Gbit ATM-LAN으로 제안되었지만 버스, 링, 스타버스 형태의 토폴로지에 적용할 수 있도록 고려되었을뿐 아니라 멀티미디어 트래픽 수용을 위한 다단계의 우선순위 제어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수정없이 GFC 프로토콜로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기존의 HMR 프로토콜에서 제안되었던 정적퀘타할당 방법은 버스트성이 큰 트래픽에 대하여는 엑세스지연이 과다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큐의 크기를 고려한 동적퀘타할당 방식을 적용한 HMR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CCITT에서 제안한 7사지 GFC 시험절차를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동적 퀘타할당 방식을 적용한 HMR 프로토콜은 정적퀘타할당 방식을 적용한 HMR에 비하여 개선된 성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HMR-GFC 프로토콜은 ATMR에 비하여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며, DQDB와는 대등한 정도의 성능을 나타탬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a GFC protocol based on HMR(High-speed Multimedia Ring) with a dynamic quota allocation is proposed and the performance of proposed protocol is evaluated by simulation. The HMR a medium access protocol proposed for Gbit ATM-LAN, can be applied to the GFC protocol without any modification because it uses only 4 bits for medium access of several topologies such as bus, ring and stared-bus, and priority control for satisfaction of different QoS(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s. The quota allocation method of HMR called static quota allocation has a problem of excessive access delay for the traffic with high burstness. In this paper a dynamic quota allocation method which allocates quota to the nodes according to the queue length is proposed and the performance of HMR with dynamic quota allocation is evaluated by seven simulation scenarios of CCITT. The HMR with proposed method shows better shows better access delay characteristics than the HMR with static quota allocation. Also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access delay performance of HMR is better than that of ATMR proposed by Japan and is similar to that of DQDB proposed by Australia.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