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크의 비의류용 이용

  • 발행 : 1994.12.01

초록

전통적인 고급 의류로서 견이 사용되기 시작한 이래, 섬유의 여왕으로서 실크는 지속적인 사랑을 받아왔다. 그러나 최근 실크에 가까운 합성섬유가 만들어져 견섬유의 위치를 위협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섬유재료로서 실크가 갖는 경쟁력은 어려운 위치에 처하게 되었고, 보다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실크제품의 제조공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부산물의 활용에 관심이 고조되기에 이르렀다. 부산물의 활용 분야로서는 화장용품, 의료용, 식품용, 산업용 등으로 그 응용분야가 광범위하게 확대되었고 지금도 속속 새로운 분야에의 응용이 시도되고 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 견의 기능성 발현의 기구가 보다 자세히 규명된다면 실크분야에서 완전히 새로운 장이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그렇게 된다면 지금의 부산물 이용만으로는 수요를 감당할 수 없을지도 모를 것이다. 그때에는 직접 누에의 체내에서 견을 채취하게 될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과거의 풍요로운 뽕나무 밭도 되살아 나고 잠사 견업의 활성화에도 연관된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