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norchiasis and metagonimiasis in the inhabitants along Talchongang (River), Chungwon-gun

중원군 달천강 유역 주민의 간흡충 및 메타고니무스 감염상

  • Yu, Jae-Ran (Department of Parasitology, College of Medicine, Konkuk University) ;
  • Gwon, O-Sang (Department of Parasitology, College of Medicine, Konkuk University) ;
  • Lee, Sun-Hyeong (Department of Parasit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유재란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 권오상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 이순형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Published : 1994.12.01

Abstract

To evaluate the status of clonorchiasis and metagonimiasis of the inhabitants near Talchongang (River) in Chungwon-gun, Chungchongbuk-do, the stools of 67 inhabitants were examined by formalin-ether sedimentation method from August to September, 1993. Also freshwater knish caught in Talchongang were examined by slide compression method. The e99 positive cases of Clonorchis sinenis and Metasonimus sp. were 22 (32.8%), and 14 (20.9%), respectively. Of 17 species of examined fish, 14 species were infected with C. sinensis and 13 species with Metagonimus sp. The adult worm collected from 2 patients after treatment with praziquantel was Metosoninur Miyata type. Also the adult worm obtained from the experimental mice infected with metacercariae from Zacco plntwpus was Metafonimus Miyata type. We found the highly endemic area of clonorchiasis and metagonimiasis along Talchongang.

충청북도 중원군 달천강 유역 주민의 기생충 감염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3년 8월부터 9월까지 이류면 수주리 마을주민 67명을 대상으로 대변검사를 실시하고. 감염원 조사를 위하여 마을앞 달천강 상류지역의 담수어를 투망으로 채질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간흡충 양성자가 67명중 22명 (32.8%)이었고 메타고니무스 양성자가 14명(20.9%)이었다 조사한 담수어 17종중 간흡충은 14종이, 메타고니무스는 13종이 감염되어 있었다. 간흡충의 경우 큰납지리, 모래무지. 꼬치동자개. 눈동자개 등이 높은 감염률을 보였고, 메타고니무스의 경우는 참마자, 큰납지리. 모래무지 피라미 등이 높은 감염률을 보였다. 메타고니무스 양성자로부터 회수한 성충은 Miyata형이었고 피라미에서 얻은 피낭유충을 마우스에 실험감염시켜 회수한 성충도 역시 Miyata형이었다. 위의 결과로 달천강 유역에 담수어를 매개로 한 간흡충과 메타고니무스(Miyata형) 감염이 고율로 유행함을 확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