뚜렛씨병과 만성틱장애의 단일광자방출전산화단층촬영 소견에 관한 연구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FINDINGS IN TOURETTE'S AND CHRONIC MOTOR TIC DISORDER

  • 조수철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소아 청소년정신과)) ;
  • 이명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학교실(핵의학과)) ;
  • 김자성 (국립정신병원)
  • Cho, Soo-Churl (Department of 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Division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Lee, Myung-Ch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Division of Neclear Medicine)) ;
  • Kim, Ja-Sung (National Mental Hospital)
  • 발행 : 1993.12.31

초록

Tourette씨병과 만성틱장애는 7세 전후한 연령에서 가장 흔히 시작되는 소아 또는 청소년기의 행동장애로서 서로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유전적인 경향이 아주 강한 질환들로 알려져 있다. 원인으로서도 여러가지 가설이 있으나 뇌의 기능 또는 기질적인 장애로 인하여 발병될 가능성도 클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 질환들의 생물학적인 원인들 중 일부를 살펴보기 위하여 단일광자방출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시행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31.0%(13/42)에서 대뇌피질의 혈류감소 소견을 보였으며, 전두엽이 가장 흔한 혈류 이상 소견을 보인 부위였다.2) 4.8%(2/42)애서 대뇌기저핵의 혈류에 감소를 나타내었다. 3) 4.8%(2/42)에서 시상부의 혈류감소가 관찰되었다. 4) 16.7%(7/42)에서 소뇌의 혈류감소가 관찰되었다. 5)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가 동반된 군과 동반되지 않은 군간에 혈류장애의 빈도에 있어서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6) Tourette씨병과 만성틱장애에 있어서, 혈류장애가 동반된 빈도에 있어서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걸과로 미루어 Tourette씨병과 만성틱장애의 생물학적인 원인중의 하나로 뇌혈류장애와 관계가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뇌혈류의 정도를 정량화시키거나, 또는 자기공명영상과 같은 방법을 병행하여 연구를 시행함으로써, 본 연구의 타당성을 높여줄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The pathophysiology and neural mechanism involved in Tourette's and chronic motor tic disorder are highly controversial.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abnormalities of brain. In Tourette's and chronic motor tic disorder, 42 children with Tourette's and chronic motor disorder underwent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SPECT) using Tc-99m-HM-PAO.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31.0% (13/42) of this series revealed perfusion defect in cerebral cortex. 2) 4.8% (2/42) revealed perfusion defect in basal ganglia. 3) 4.8(2/42) revealed perfusion defect in thalamus. 4) 16.7%(7/42) showed perfusion defect in cerebellum. 5) The frequency of abnormal perfus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ic with and without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6) The frequency of abnormal perfus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ourette's and chronic motor tic disorder. These findings support the hypothesis of a possible involvement of brain dysfunction in the production of Tourette's and chronic motor tic disorder, and quantification of blood flow and co-registration with magnetic resonance imaging will increase the validity of this stud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