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마토그래피용 O-Diethylaminoethyl Chitosan의 합성; I. 단백질의 분리

Synthesis of O-Diethylaminoethyl Chitosan for Chromatography; I. Separation of Protein

  • 박창규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공업화학과) ;
  • 이영무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공업화학과) ;
  • 김진홍 (동성화학 공업주식회사 중앙연구소) ;
  • 정창남 (순천대학교 공과대학 고분자공학과)
  • Park, Chang-Gu (Dept. of Ind. Chem., College of Eng. Hanyang Univ.) ;
  • Lee, Young-Moo (Dept. of Ind. Chem., College of Eng. Hanyang Univ.) ;
  • Kim, Jin-Hong (Dong Sung Chemical Ind. Co., Ltd. Central Research Institute) ;
  • Jeong, Chang-Nam (Dept. of Polymer Science and Eng., College of Eng., Suncheon Univ.)
  • 투고 : 1993.07.01
  • 심사 : 1993.07.13
  • 발행 : 1993.07.01

초록

키토산 유도체 중 약한 음이온 교환기를 갖는 O-Diethylaminoethyl 키토산을 제조하여, 이를 크로마토그래피의 고정상으로 이용하여 생체단백질의 하나이며 등전점이 서로 다른 알부민과 라이소자임의 분리에 응용하였다. 우선 산성 염료와 염기성 염료를 이용하여 고정상으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검토하였고 용매에 의한 극성효과도 검토하였다. 이것을 토대로 하여 크로마토그래피의 분리에 미치는 제반인자를 구하였다. 용매로써는 물과 메탄을 공용매를 사용하였고 이 경우 극성값이 증가할수록 분리능이 증가하였으며 가장 좋은 분리능은 치환도가 0.23인 경우 분리도가 1.42였다.

O-Diethylaminoethyl chitosan containing weak cation exchange group had been synthesized. It was used to separate albumin and lysozyme as stationary phase in liquid chromatography column. The separation of acidic and basic dyes were preliminarily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larity parameter of solvents. Based on this result, we investigated various factors on the separation efficiency of chromatography in column. In the case of using water-methanol as cosolvent, the resolution factor depended on the polarity parameter. The best resolution factor was 1.42 for DEAE-chitosan with the degree of substitution of 0.23.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순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