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정폐수 혐기성 소화의 저해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hibition of Anaerobic Digestion for Alcohol Distillery Wastes

  • 장인성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공업화학과) ;
  • 김재신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공업화학과) ;
  • 이정학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공업화학과) ;
  • 박갑성 (한국외국어대학교 환경학과)
  • Chang, In-Soung (Dept. of Chemical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Jae-Shin (Dept. of Chemical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Chung-Hak (Dept. of Chemical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Park, Kap-Song (Dept. of Env. Sci. & Technol.,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투고 : 1993.06.28
  • 심사 : 1993.07.20
  • 발행 : 1993.07.01

초록

주정폐수의 혐기성 소화 저해작용을 이해하기 위하여 회분식 혐기성 소화를 수행하였다. 나맥원료 주정폐수와 백미원료 주정폐수를 각각 분리막으로 여과하여 순수한 용존 유기물 부분과 고형물질 부분을 따로 분리하였다. 주정폐수의 용존 유기물 부분과 고형물질 부분 및 분리하지 않은 원 주정폐수를 기질로 사용하여 회분식 혐기성 소화를 수행하였다. 나맥원료 주정폐수의 고형물 부분에서 발생하는 프로피온산은 용존성 유기물 부분에서 발생하는 프로피온산의 비율보다 약 2배 가량 많았으며, 원 폐수에서 발생하는 프로피온산의 비율보다도 많았다. 나맥원료 주정폐수의 혐기성 소화 저해작용은 고형물질 부분 혐기성 소화과정 중 생성된 다량의 프로피온산에 연유될 수 있을 것이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hibition of anaerobic digestion with alcohol-distillery wastes, batch anaerobic diges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Both naked-barley based and rice based alcohol-distillery wastes were separated into soluble organic fractions and suspended solids fraction using diafiltration with ceramic membranes. Each fraction of retentates and permeates, and the raw alcohol-distillery wastes were used as feeds for the anaerobic digestion study. The suspended solids fraction from the naked-barley stillages had produced much more propionic acid than the soluble organic fractions or raw alcohol-distillery wastes. The inhibition of anaerobic digestion for naked-barley alcohol-distillery wastes may be due to the higher productions of propionic acid with solids fraction of the wast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