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ELETAL RELAPSE AFTER ORTHOGNATHIC SURGERY OF CLASS III SKELETAL OPEN-BITE

개구교합을 가진 3급 부정교합환자의 악교정수술후 재발에 관한 연구

  • Song, Jae-Chul (Dep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Han (Dep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송재철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 이상한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Published : 1993.09.30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evaluate a post-operative relapse tendency in mandibular prognathism patients with open-bite. 18 patients with or without open-bite have undergone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and were investigated radiologically with cephal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1. The preoperative anterior facial height, mandibular plane angle and mandibular gonial angle were larger in open-bite patients than in nonopen-bite patients.(p>0.05) 2.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urgical change of SNA, mandibular plane length and long-term relapse.(p<0.01). 3. There was relatively stable postoperative anterior facial height in open bite patients. 4.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urgical change of mandibular plane angle, amount of mandibular setback and long-term relapse.(p>0.01) 5. This study showed that horizontal relapse was more significant than vertical relapse.

자자는 1991년 2월부터 1993년 2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구강악안면외과에 하악전돌 및 개구교합을 주소로 내원하여 하악골 시상골절단술을 이용하여 악교정 수술을 받은 환자중 추적 조사가 가능했던 9명의 개구교합을 동반한 하악 전돌증 환자와 개구교합이 없는 하악 전돌증 환자 9명, 총 18명을 대상으로 두부 상사선 규격사진을 이용한 술후 재발에 관한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비개구교합군에 비해 개구교합군에서 술전 전안면고경, 하악 하연 평면각 및 하악 우각부 값이 더 크게 나타났으나 유의성은 없었다.(p>0.05) 2. 개구교합군에서 수술시 SNB 값과 하악 하연 길이의 변화량이 하악의 재발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p.<0.01) 3. 개구교합군에서 전안면고경은 술후 비교적 안정되어 있었다. 4. 개구교합군과 비개구교합군에서 수술에 의한 하악 하연 평면각의 변화와 하악의 수평 이동량은 재발과 상관 관계가 없었다.(p>0.01) 5.개구교합을 가진3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하악골 시상골 절단술을 시행시 본 연구에서는 수직적 재발보다는 수평적 재발에 문제가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