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Modeling of Controlled Environment in Leaf Vegetable Crops

엽채류의 환경제어 모델연구 III. 배지와 양액 종류에 따른 식물의 생육변화

  • 박권우 (고려대학교 원예과학과) ;
  • 신영주 (고려대학교 원예과학과) ;
  • 원재희 (고려대학교 원예과학과) ;
  • 이용범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Published : 1993.06.01

Abstract

Chinese white cabbage, Chinese flat cabbage, lettuce, garland chrysanthemum, and green perilla were grown in nutrient solution cultu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media and nutrient solutions. The culture media were sand, mixed substrate(peatmoss : sand= 1 : 1), and non-media(deep-flow culture). The nutrient solutions were Cooper's, Hoagland's, and Yamazaki's solution. Plants were grown under different treatments for three weeks. Generally, the growth was greatest in non-media culture and followed mixed substrate culture, and poorest in sand culture. In non-media culture, the growth of Chinese white cabbage, Chinese flat cabbage, lettuce, and green perilla was good in Yamazaki's solution. And regardless of nutrient solution, garland chrysanthemum was good in non-media culture. Relative chlorophyll was not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양액재배시 배지 및 양액종류의 차이가 백경채, 탑채, 상추, 쑥갓 및 잎들깨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한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반적으로 순수담액처리구와 혼합상토의 생육이 크게 차이나지는 않았으나 순수담액처리구의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고, 모래배지에서의 생육이 가장 저조하였다. 백경채, 탑채, 상추와 잎들깨의 생육은 순수담액의 산기양액처리구에서 가장 좋았으며 쑥갓의 경우 양액종류에 관계없이 순수담액처리구에서 생육이 양호하였다. 2. 엽록소의 상대적 함량은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3. Vitamin C의 함량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공시작물 공히 전반적으로 양액의 종류에 상관없이 혼합상토처리구가 가장 높았고, 모래배지가 가장 낮았다. 그러나 잎들깨에서는 모래배지와 순수담액배지간에 차이가 없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