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ltrastructure of Vascular Meristems in the Rhizome of Botrychium ternatum

고사리삼 지하경의 유관속 분열조직 미세구조

  • 소웅영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Published : 1993.12.01

Abstract

To elucidate the origin of secondary growth in the rhizome of B. ternaturn, the developmental changes of vascular cambium was observed in ultrastructural features. The vascular cambium was gradually differentiated from procambium as in seed plants, but the cambial activity did not persist very long so that the cambial cells became a dormant state like fossil cryptogams. Dense cytoplasm of procambial cells became progressively sparse during the growth, and the tiny vesicles were fused to form numerous small vacuoles and then a few large vacuoles. These gradual changes and the occurrence of storage materials which wa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al stages might support the progressive differentiation of the cambial cells. In addition, the cessation of cambial activity could be indicated by the facts that late vascular cambial cells accumulate large lipid bodies and show very small peripheral cytoplasm and unlikely thickened cell wall, compared to other meristematic cells. Therefore. the vascular cambium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both seed plants and fossil cryptogams from the view point of cambial ontogeny and activity.tivity.

고사리삼의 지하경에서 2기생장의 기원을 구명하기 위하여 전형성층으로부터 유관속 형성층의 분화과정을 미세구조적인 측면에서 관찰하였다. 유관속 형성층은 종자식물에서와 같이 전형성층으로부터 점진적인 분화과정을 거쳐서 기원되지만, 그 활성은 짧아서 화석 은화식물에서와 같은 유한 형성층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유관속 형성층의 점진적인 기원은 세포질이 아주 농후한 전형성층으로부터 세포질이 점차 희박해지며, 수가 많고 소형인 액포가 점차로 크기가 커지면서 수가 적어지는 액포로 되는 점 등으로 뒷받침될 수 있다. 한편 유관속 형성층이 유한성을 보이는 점은 후기 유관속 형성층이 지질과립 등의 저장물 축적이 심하고 세포소기관은 물론 세포질이 매우 희박해지면서 세포벽이 일반 분열조직세포와는 달리 상당히 비후되어 있는 특징으로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고사리삼의 유관속 형성층은 종자식물의 유관속 형성층의 특징과 화석은화식물의 특징을 모두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