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종자 단백질의 전기 영동 변이

  • 김창호 (부산여자대학교 생물학과) ;
  • 이호준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
  • 김용옥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 Published : 1993.08.01

Abstract

In order to study the ecotypic variation of Rohinia pseudo-acacia L. distributed in southern area of Korean peninsula, 15 local populations(Daejin, Sokcho, Kangneung, Mt. Surak, Hongcheon, Kwangneung, Namhansanseong, Chungju, Yesan, Andong, Jeonju, Dalseong, Changweon, Mokpo and Wando), located from $34^{\circ}18'N\;to\;38^{\circ}36'N$, were selected based on the latitudes and geographical distances. Seeds of these populations were collected and protein contents of seeds and their band patterns were investigated. The seed proteins of all populations were electrophoresed on SDS-polyacrylamide gel. Total number of protein bands were 35, whose molecular weights ranged from 17, 258 daltons to 142, 232 daltons. The number of bands of seed proteins was 23 in Dalseong and Hongcheon and was 32 in Daejin and Sokcho, showing an increasing tendency in the number of bands as the latitude goes high. The local populations were classified into 3 local types based on protein analysis: the middle north east coastal type(Daejin, Sokcho. Kangneung), the central type (Mt. Surak, Hongcheon, Kwangneung, Namhansanseong, Chungju) and the southern type(Yesan, Andong, Jeonju, Dalseong, Changweon, Mokpo, Wando).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luster analysis by UPGMA based on the similarity index(c0efficient of Jaccard) of the patterns, 3 local types were subdivided further into 6 types: the middle north east coastal type(Sokcho, Kangneung), the north central type I (Mt. Surak, Hongcheon), the north central type II (Narnhansanseong, Chungju, Daejin), the north central type III (Kwangneung), the south central type (Yesan, Dalseong, Jeonju) and the southern type(Andong, Changweon, Mokpo, Dalseong, Wando). The No. 12 band of the separated seed proteins showed the highest colored density in the preparations from all the populations. The No. 11~13 and No. 23~28 bands also showed high densities. As a whole, southern type populations (Changweon, Mokpo, Wando) showed high protein contents and high colored density. Total protein contents of the seeds in each population were variable from 9. 68mg / g (Mt. Surak) to 17.30mg/g (Jeonju), showing an increasing trends toward low latitudes.

한반도 남부 지역에 분포하는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L.)종자의 생태학적 형질변이를 추적하기 위하여, 북위34$^{\circ}$18'~38$^{\circ}$36'사이에 위치한 15개 지역(대진, 속초, 강릉, 수락산, 홍천, 광릉, 남한산성, 충주, 예산, 안동, 전주, 달성, 창원, 목포, 완도)을 선정하여 채종한 종자를 재료로, 단백질 패턴 및 정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SDS-PAGE에 의한 단백질 패턴 분석결과, 전 지역데 걸쳐 총 35개의 밴드가 분리되었으며 최고 분자량은 142,232 daltons, 최저 분자량은 17,258 daltons였다. 분리된 단백질 밴드 수를 지역별로 비교한 결과, 대진, 속초가 32개로 가장 많은 반면, 홍천과 달성은 23개로 가장 적었으며, 대체로 고위도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각 단백질 밴드의 유무에 따라 지역에 따른 단백질 패턴의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중북부 동해안형(대진, 속초, 강릉)과 중부형(수락산, 홍천, 광릉, 남한산성, 충주) 및 남부형(에산, 안동, 전주, 달성, 창원, 목포, 완도)등 3가지 지역 유형이 구분되었다. 단백질 패턴의 지역간 유사도 지수(Jaccard 계수)를 근거로 UPGMAdp 의한 cluster analysis 결과, 중북부 등해안형(속초, 강릉), 중북부 I형(수락산, 홍천), 중북부 II형(남한산성, 충주, 대진), 중북부III형(광릉), 중남부형(예산, 달성, 전주) 및 남부형(안동, 창원, 목포, 완도)등 6개 유형이 식별되었다. 분리된 단백질 밴드 가운데, 모든 지역세어 No.12밴드(78,162daltons)가 가장 높은 염색 강도를 나타냈고, No.11.12.13.과No.23~28 밴드 역시 비교적 높은 염색강도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총 단백질 함량이 높은 창원, 목포, 완도 등 남부형 지역에서 특히 높은 염색 강도를 나타냈다. 총 단백질 함량은 각 지역별로 최저9.68mg/g(수락산)에서 최고17.30mg/g(전주)에 이르는 다양한 수치를 나타냈으며, 대체로 저위도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