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의 종자 발아와 유식물 생장에 있어서의 온도 적응

  • 이호준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
  • 김창호 (부산여자대학교 생물학과)
  • Published : 1993.08.01

Abstract

In order to study the ecotypic variation of Robinia pseudo-acacza L. distributed in southern area of Korean peninsula, 15 local populations(Daejin, Sokcho, Kangneung, Mt. Surak, Hongcheon, Kwangneung, Namhansanseong, Chungju, Yesan, Andong, Jeonju, Dalseong, Changweon, Mokpo and Wando), located from $34^{\circ}18'N\;to\;38^{\circ}36'N$,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latitudes and geographical distances. Seeds of these populations were collected and their germination and growth of seedlings were investigated. The optimum temperature of seed germination tends to decrease with ascending latitudes. The optimum temperatures of local population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 north central type of $25^{\circ}C$(Daejin, Sokcho, Kangneung, Mt. Surak, Hongcheon, Kwangneung), the south central type of $30^{\circ}C$(Narnhansanseong. Chungju, Yesan, Andong, Jeonju), and the southern type of $35^{\circ}C$(Dalseong, Changweon, Mokpo, Wando). The optimum temperature for the growth of seedlings was $25^{\circ}C$ for all populations. The populations were also classified into three types : north central type, south central type and southern type based on the ranking on the growth of seedlings at 5 different temperatures of 15, 20, 25, 30 and $35^{\circ}C$, and the results of seedling growth showed similar patterns to those of the seed germination.

한반도 남부 지역에 분포하는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L.) 종자의 생태학적 형질 변이를 추적하기 위하여, 북위34$^{\circ}$18'~38$^{\circ}$36'사이에 위치한 15재역 (대진, 속초, 강릉, 수락산, 홍천, 광릉, 남한산성, 충주, 예산, 안동, 전주, 달성, 창원, 목포, 완도)을 선정하여 채종한 종자를 재료로, 발아 및 유식물 생장 실험을 실시하였다. 지역에 따른 발아 최적 온도는 저위도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여, 25$^{\circ}C$를 최적 온도로 하는 중북부형(대진, 속초, 강릉, 수락산, 홍천, 광릉)과 30$^{\circ}C$가 최적 온도인 중 남부형 (남한산성, 충주, 예산, 안동, 전주), 그리고 35$^{\circ}C$를 최적온도로 하는 남부형(달 성, 창원, 목포, 완도)의 3가지 유형이 식별되었다. 유식물의 신장 생장과 건량 새?에 대한 최적 온도는 모든 지역에서 25$^{\circ}C$로 나타났으나, 온도에 따른 생장 서열에 있어서 는 발아 경향과 유사한 경향을 보여 남부형(달성, 창원, 목포, 완도), 중남부형(남한산 성, 충주, 예산, 안동, 전주) 및 중북부형(대진, 속초, 강릉, 수락산, 홍천, 광릉)의 3가 지 유형이 식별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