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morphic Morphology in Three Oriental Species of Microsphaera

흰가루병균(病菌) Microsphaera속(屬)에서 동양(東洋) 3종(種)의 무성세대(無性世代) 형태(形態)

  • Published : 1993.06.30

Abstract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anamorphic states were described in three species of powdery mildew fungi, Microsphaera akebiae, M. picrasmae and M. schizandrae, which were parasitic on Akebia quinata, Picrasma quassioides, and Schizandra chinensis, respectively. All species were flexuous in foot-cells of conidiophores, producing conidia singly on conidiophores, devoid of fibrosin bodies in conidia, and producing germ tubes on the end of conidia.

Microsphaera속(屬) 흰가루병균(病菌) 중에서 아시아의 극동지방(極東地方)에서만 채집(採集)되는 M. akebiae, M. picrasmae, 그리고 M. schizandrae 등 3종(種)을 각각 으름, 소태나무 그리고 오미자에서 채집(採集)하여 이들이 갖는 무성세대(無性世代)의 형태적(形態的) 분류특성(分類特性)을 검경(檢鏡)하였다. 그 결과, 지금까지 잘못 알려진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을 수정기재(修正記載)하였으며, 보고(報告)되지 않았던 몇 가지 분류특성(分類特性)을 추가기재(追加記載)하였다. 이들 3종(種)에서 관찰된 많은 분류특성(分類特性)들은 Microsphaera속(屬)에 공통적(共通的)으로 나타나는 것이었다. 즉, 부착기(附着器)는 파상(波狀) 내지 굴곡상(屈曲狀)으로서 쌍(雙) 또는 단독(單獨)으로 존재(存在)하였고, 분생자경(分生子梗)은 모세포(母細胞) 당(當) 1-2개(個)였고, 분생포자(分生胞子)를 단생(單生)하였으며, 기부격막(基部隔膜)은 균사(園絲)와의 분기점(分技點)에 있었다 . 분생포자(分生胞子)는 피브로신체(體)를 함유(含有)하지 않았으며, 발아관(發芽管)은 포자(胞子)의 끝에 위치(位置)하였다. 그러나 이들 3종(種)은 모두 분생자경(分生子梗)의 기부세포(基部細胞)가 굴곡상(屈曲狀)으로서 대부분의 Microsphaera속(屬) 흰가루병균(病菌)과 달랐으며, 각 종(種)은 분생자경(分生子梗)의 크기와 분생포자(分生胞子)의 크기 및 형태(形態) 등으로 서로 유별(有別)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들 흰가루병균을 무성세대(無性世代)에서도 동정(同定)할 수 있게 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