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ess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ulmonary Function Test and Dyspnea Index in Patients with Bronchial Asthma

기관지천식 환자에서 폐기능검사와 호흡곤란지수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 Kim, Se-K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Cheon, Seon-He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Chang, J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Ha, Jong-W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Hong, Chein-S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Kim, Sung-K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Lee, Won-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김세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천선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장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하종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홍천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성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원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2.10.31

Abstract

Background: Despite dyspnea is a predominant complaint of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 the mechanisms contributing to the sensation of breathlessness are poorly understood. Traditionally, physicians have measured objective pulmonary function to assess severity of dyspnea. But it will be also useful to measure subjective dyspnea index because dyspnea probably depends on a complex interplay of mechanical, experimental, emotional and other factors. Method: We measured breathlessness at rest, after Methacholine challenge and then bronchodilator inhalation using a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Borg Scale Dyspnea Index (BSDI) in stable asthmatic patients. Spirometry was performed concomittently. Results: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dyspnea index and FEV1. There was also no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 in dyspnea index and change in FEV1. The change in dyspnea index after methacholine and bronchodilator was greater in clinically mild asthmatic patients than clinically severe symptomatic group. Conclusion: In asthmatic patients, there was a wide variation in sensory response for any given FEV1, and the change in perception of dyspnea was greater in those with clinically mild symptoms. The measurement of dyspnea index may yield information complementary to that obtained by spirometry.

연구배경 : 호흡곤란은 호흡기질환 환자의 가장 흔한 주소이나 이를 감지하는 정확한 기전은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폐질환에서 호흡곤란의 심한 정도와 치료에 대한 반응을 측정하는 데 있어 객관적인 폐기능을 이용하여 왔으나 호흡곤란은 폐 환기능 뿐 아니라 심장, 폐질환, 심인적 요인 등을 반영한 복합적인 증상이므로 주관적으로 측정하는 호흡곤란지수(dyspnea index)를 사용하여 이러한 증상의 정도를 양적으로 측정하는 것도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방법 : 증상이 기관지천식 환자를 대상으로 Visual Analogue Scale(VAS) 및 Borg Scale Dyspnea Index (BSDI)와 Spirometry를 검사전 휴식상태, methacholine 유발검사에서 양성을 나타내었을 때, 기관지확장제 투여후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 : 1) 기저상태와 Methacholine 및 기관지확장제 투여후 시행한 폐기능검사 결과와 VAS 및 BSDI 간 상관관계는 없었다. 2) FEV1, FVC 및 MMFR 변화량과 VAS 및 BSDI 변화량 간에도 상관관계는 없었다. 3) 천식의 증상호소가 경미한 환자군이 증상호소가 심한 환자군 보다 methacholine 및 기관지확장제 투여 후의 VAS 및 BSDI의 변화가 더 컸다. 4) 호흡곤란지수중 VAS이 BSDI 보다 조금 큰 수치 및 변화량을 보였으며 두 지수 간의 상관관계를 볼 수 있었다(R=0.82). 결론 : 기관지천식 환자에서 기저상태 및 Methacholine 유발검사시에 객관적인 폐기능 검사 수치의 유의한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주관적인 호흡곤란지수는 변화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경중 천식군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호흡곤란지수는 환자 간의 비교척도로는 사용될 수 없으나 한 환자에서 경과관찰이나 치료효과를 판정하는데에 spirometry와 함께 중요한 지표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