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흉부 X-선촬영상 종괴가 보이지 않았던 폐암에 관한 연구

A Study of Lung Cancers Without Demonstrable Mass Lesions on Simple Chest X-rays

  • 서지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기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유철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영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한성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심영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건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한용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Suh, Gee-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Jeong, Ki-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Yoo, Chul-K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Young-Wha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an, Sung-K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him, Young-S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Keon-Yo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an, Yong-Cho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1992.02.29

초록

연구배경 : 폐암은 가장 흔한 암중의 하나로 예후가 좋지 않아 폐암의 조기진단은 매우 중요하다. 폐암의 조기진단에는 객담세포진검사와 단순흉부 X-선 촬영이 쓰이고 있으나 이런 방법들에는 한계점들이 있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단순흉부 X-선 촬영상 종괴가 없었던 폐암환자들을 분석함으로써 폐암의 조기진단에 도움을 얻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86년 8월부터 1989년 6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폐암으로 진단 받은 환자중 단순흉부 X-선 촬영상 종괴가 없었던 11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 11명중 10명이 남자였고, 8명에서 흡연력이 있었고, 증상으로는 가래, 기침, 그리고 각혈이 많았으며, 이학적 검사상 천명음이나 천음이 들렸던 환자는 3예였다. 단순흉부 X-선 촬영에서 3예에서 확실한 종괴는 없었으나 후에 폐암으로 밝혀진 부위에 불명확한 침윤, 주사열의 비후, 폐결핵증의 소견이 있었으며, 그리고 1예에서는 늑골에 종괴가 가려져 있었던 경우가 있었다. 또 1예에서는 단순흉부 X-선 촬영에서는 종괴가 없었으나 흉부 측면촬영상 종괴가 보였던 경우가 있었다. 폐암의 위치확인의 방법으로는 기관지내시경검사와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이 유용하였다. 병리학적으로는 11명중 7예가 편평상피세포암이었다. 이들의 병기는 제 2기이하가 5예로서 비교적 조기에 발견된 경우가 많았으며, 11명중 4명이 수술후 2년반에서 4년동안 병의 재발의 증거없이 본원외래를 다니고 있다. 결론 : 호흡기증상이 있고 폐암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못하는 환자들에서는 흉부 측면사진과 객담세포진검사 등이 필요할 것이고, 폐암이 의심되면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과 기관지 내시경 등의 검사들이 적극적으로 시행되어 폐암의 조기진단에 도움을 주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Background: The prognosis of lung cancer remains poor and early detection and curative surgery is still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for many. In the early detection of lung cancer, sputum cytology and simple chest x-ray are used, but both of these tests are far from being perfect. So we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diagnosed as lung cancer without demonstrable mass lesion on simple chest x-ray to help in the early diagnosis of lung cancer.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on 11 subjects who were diagnosed as lung cance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August 1986 and June 1989 and had no demonstrable mass lesion on simple chest x-rays. Results: Ten of 11 patients were male, 8 had a history of smoking, most frequent symptoms were sputum, cough, and hemoptysis, and 3 patients either had wheezing or stridor. In 3 of the cases, although there were no mass lesion, there were ill-defined infiltration, major fissure thickening, and fibrostreaky density mimiking tuberculosis where the tumor was eventually found and in one patient tumor was masked by a rib shadow. Also in one case, lateral chest film demonstrated a retrocardiac mass. Both bronchoscopy and computed tomogram were useful in the localization of the tumor. Seven of 11 had relatively early disease (less than StageII). Four of 11 are still alive without any evidence of recurrence between 2 and a half and 4 years after the operation. Conclusion: We conclude that in patients with respiratory symtoms in whom cancer cannot be ruled out, sputum cytology and lateral chest x-rays should be taken and that if necessary further studies like computed tomogram and bronchoscopy should be done to aid in the early diagnosis of lung cance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