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 가열살균공정 자동화 시스템의 개발

A Control System for Automization of Food Sterilizing Process

  • 안희우 (부산수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 조현덕 (부산수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 한봉호 (부산수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 김상봉 (부산수산대학교 기계공학과)
  • AN Hee-Wo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CHO Hyun-Duk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HAN Bong-H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KIM Sang-Bong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발행 : 1992.11.01

초록

식품의 가열살균공정에 있어서 자동화는 에너지 소비의 성력화와 품질과의 관계 최적화를 위한 필수조건 중의 하나이다. 이를 위하여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음한 자동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시스템의 성능 및 정확도는 고형식품으로 사용한 명태 고기풀의 가열살균과정에서의 열침투곡선과 열확산도의 정확도로써 검토하였다.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한 명태 고기풀의 열침투곡선은 전형적인 고형식품의 열침투곡선을 나타내었다. 열침투곡선으로 부터 계산된 열확산도의 경우, 일정 살균온도에서는 다른 조건의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다. 가열살균온도를 변화시켜 구한 열확산도를 문헌상에 보고된 열확산도 추정식으로 구한 값과 비교하였을 때,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그 차이는 $\pm10.0\%$이내였다.

A microcomputer based control system was constructed to save energy consumption in the thermal sterilizing process. The functional accuracy of system was evaluat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hermal diffusivities of the model solid food, Alaska pollack surimi. The heat penetration curves obtained through the experiments were typical for solid foods. The practical thermal diffusivity calculated from heat penetration curve was a constant value at steady sterilizing temperature, and this was independent of the holding time. At different temperatures, the thermal diffusivity values did not show remarkable differences when compared with those predicted by some experimental equations cited from the literatures. The maximal difference was within the range of $\pm10.0\%$.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