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nterpolation Methods for the Laboratory Compaction Test Results

흙의 실내(室內)다짐시험결과(試驗結果)에 대한 해석적(解析的)인 산정(算定)에 관한 연구(研究)

  • 이호춘 (명지실업전문대학 토목공학과)
  • Received : 1991.12.02
  • Published : 1992.06.30

Abstract

The Maximum Dry Density (${\gamma}_{dmax}$) and the Optimum Moisture Content (${\omega}_{opt}$) of the soil samples are determined from the compaction curve plotted with the laboratory compaction test results. But in this study three reported tests, and tests on the silty clay and the sandy silt samples are reviewed through the interpolation methods using an equation of the Moisture-Density relations induced from Lagrange's Interpolation Formula without drawing the compaction curves. As the results of the study ${\gamma}_{dmax}$ and ${\omega}_{opt}$, were calculated rapidly and simply using the equation and approached to the results from the compaction curves, and also due to the differences of the ${\gamma}_{dmax}$ and ${\omega}_{opt}$, calculated from the equation between the compaction curves were within $0.01g/cm^3$(0.5%) and 0.4% respectively the method in this study be recommended as a simple method determining ${\gamma}_{dmax}$ and ${\omega}_{opt}$, during the laboratory compaction tests.

흙의 실내(室內)다짐시험(試驗)에서 최대건조밀도(最大乾操密度)와 최적함수비(最適含水比)를 결정(決定)하기 위하여 각국의 공업규격 등에 따라 다짐곡선(曲線)을 작도(作圖)하여 도상(圖上)에서 측정하고 있는 바 이에 소요되는 준비절차(節次)와 시간을 절약하고 수치계산으로 구할 수 있는 즉 Lagrange의 보간공식을 이용(利用)한 함수비(含水比)-건조밀도(乾燥密度) 관계식으로 다짐결과를 산정(算定)하는 본 연구의 방법이 다짐시공관리(施工管理)에 적용될 수 있는가 객관적으로 비교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종래의 방법으로 다짐결과가 결정(決定)되어 있는 기보고(旣報告)된 다짐시험실례(試驗實例)의 측정치에 대하여 다짐결과를 산정(算定) 및 비교고찰(比較考察)한 결과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다고 확인 되었으나 산정값의 정도(精度)는 차이를 나타내어 함수비의 변화폭에 따른 차이 등을 확인하여 정도에 대한 문제점을 종합 고찰하고자 2종의 시료에 대하여 함수비의 변화폭을 2% 정도로 유지하여 시험한 결과 두가지 방법에 의한 산정값이 더욱 접근하였으며 시험례(試驗例)를 포함한 비교에서 최대건조밀도(最大乾燥密度) 및 최적함수비(最適含水比) 산정(算定)값의 차이가 각각 $0.01g/cm^3$(0.5%) 및 0.4% 미만으로 나타나 일반적인 시공의 허용범위 및 다짐곡선상에서 측정할 수 있는 범위 이내라고 보아 정도(精度)에도 문제점이 없다고 판단되었다. 그러나 다짐곡선에서 시학적(視學的)으로 다짐상태를 비교(比較)할 수 있는 등의 전부를 만족할 수는 없어 종래의 방법과 병용하는 간이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