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오염(大氣汚染)이 전주(全州)·군산간(群山間) 국도변(國道邊) 왕벚나무에 미치는 영향(影響) (I) -수용성(水溶性) 황(黃), Pb, Cd 함유량을 중심(中心)으로-

Effect of Air Pollution on Cherry Tree (Prunus yedoensis Matsumara) planted on National Roadsides between Cheonju and Kunsan City (I) -Water soluble sulfur, Lead and Cadmium Contents in the Leaves-

  • 투고 : 1991.07.30
  • 발행 : 1992.06.30

초록

본(本) 연구(硏究)는 전주(全州)-군산간(群山間) 국도변(國道邊) 약(約) 40Km에 열식(列植)된 왕벚나무를 대상으로 하여 자동차 배기가스에 의한 공기오염(空氣汚染)이 왕벚나무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규명(糾明)하고자, 선정(選定)된 전주(全州)-군산간(群山間) 국도변양측(國道邊兩側)에 10개의 지점(地點)에서 각(各) 지점(地點) 당 5그루씩 총(總) 100주(株)에 있어서 수관중간부위(樹冠中間部位)에서 성숙엽(成熟葉)을 채취(採取)하여 엽중(葉中) 수용성(水容性) 황(黃), Pb, 그리고 Cd 함유량(含有量)을 조사(調査)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엽중수용성(葉中水溶性) 황(黃) 함유량(含有量)은 0.06-0.07%의 범위를 보였고, 대조구보다 2배(倍)가 더 많았다. 전주(全州)-이리간(裡里間)보다는 이리(裡里)-군산간(群山間)의 시료(試料)가 더 높은 수용성(水容性) 황(黃) 함유량(含有量)을 보였다. 대조시료(對照試料)와 비교할 때 황(黃)의 오염(汚染)이 인정되었다. (2) Pb 함유량(含有量)은 12-35ppm의 범위를 보였고 도로우측시료(道路右側試料)의 함유량(含有量)이 좌측시료(左側試料) 함유량(含有量)보다 높았다. 대조시료(對照試料)와 비교할 때 Pb의 더 많은 흡수량(吸收量)을 인정할 수 있었다. Pb 오염원(汚染源)은 일단 차량의 배기(排氣)가스에서 오는 것으로 추단(推斷)하고 이곳을 스쳐가는 바람의 영향도 생각 될 수 있는 것으로 보았다. (3) Cd 함유량(含有量)은 0.42-0.98ppm의 범위를 보였고 대조시료(對照試料)와 비교할 때 Cd의 오염(汚染)이 인정 될 수 있었다. (4) 벚나무 도로수(道路樹)의 건강도(健康度)는 주로 교통에 의한 오염이외(汚染以外)에도 개체(個體)에 따fms 유전적(遺傳的) 차이(差異), 그리고 국소입지(局所立地)의 차등(差等), 제인자(諸因子)의 혼합작용(混合作用)이 생각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the water soluble sulfur, lead and cadmium contents of Prunus yedoerais leaves were analysed. The water soluble sulfur content considered as a main pollution indicator was extracted by the conventional barium sulfate method and the concentrations were calculated.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 1. The water soluble sulfur contents of the leaves collected from the heavy traffic roadside trees were two tim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materials on average. It was presumed those trees has been under meaningful pollutants impact. The water soluble sulfur contents of leaves between Cheonju and Iri was higher than that between Iri and Kunsan. 2. The range of Pb contents from roadside trees was 11.9-34.5 ppm for exceeding the control. The trees grown on the right roadside were more heavliy Pb-contaminated. 3. The range of Cd contents from roadside trees grown between Iri and Kunsan, the site-to-site variations of Cd concentration was not significan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