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illus licheniformis SSA3-2M1 이 생산하는 Proteinases

  • 장영채 (영남대학교 응용미생물학과) ;
  • 이경형 (영남대학교 응용미생물학과) ;
  • 김성영 (경상대학교 식품공학과) ;
  • 조윤래 (영남대학교 응용미생물학과) ;
  • 김종규 (영남대학교 응용미생물학과)
  • Published : 1992.08.01

Abstract

Buci1llr.s 11c~h~n~1rnSiSi.As 3-2MI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special taste of traditionalKorean soy sause produced two kinds of proteinase. The activity of the proteinasc I washigher about two fold than that of proteinase 11. The optimai, reaction pH of proteinaseI and I1 wcre found to be 7-1 1.5 and 7-9. respectively. Proteinase I1 was more stable andactive than proteinase I at pH ranges around 3 to 5. The optimal te~tlperature of proteinaseI and I1 were 502. The temperature stabilitl of proteinase I1 was Inore stable thanproteinase 1 at temperature range around 30-quot;~A. ctivities of proteinase I and I1 graduallydeclined above $30^{\circ}$C and 45C. respectively. Proteinasc 1 was more active than proteinaseI1 at salt concentration range around 25-3500. The K,,, values of casein and soy proteinfor proteinase I were 6.89 mglml and 3.98 mglml. In case of proteinase 11. they were 9.00mgiml anti 11.44 111g/ml. respectively. The activity of the crudc enzyme was increased by1 rnM Pb(CH3COO). but was decreased by 5 n1M and 10 rnM of HgS04 and ZnS04. Thetwo proteinases produced amino acids and peptides from the soybean protein. The peptideswere digested into amino acids. Both protcinases were found to be the main enzymes thatproduced amino acids which make the main taste of traditional Korean soy sauce.al Korean soy sauce.

한국 재래식 간장의 독특한 맛을 생성하는 B. licheniformis SSA3-2M1 의 배양액으로부터 proteinase 를 정제한 결과 2 종의 proteinase 의 역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Proteinase I 의 역가는 II 보다 두배가량 되며 최적 pH 가 7-11.5 이었다. Proteinase I 의 역가는 II 보다 두배가량 되며 최적 pH 가 7-11.5 이었다. Proteinase II 의 최적 pH 는7-9 이며 proteinase II 는 I 보다 pH3-5 부근의 상성에서 더 안정하고 활성이 강하였다. Proteinase I 과 II 의 최적온도는 각각 50.deg.C 였으며, proteinase II 의 온도안정성은 30-45 .deg.C 온도범위에서 proteinase I 보다 더 안정하였다. Proteinase I 은 45.deg.C 에서 60% 가 실현되었으며 protein II 는 45.deg.C 에서 5% 가량 실활되었다. 염에 대한 영향은 proteinase I 이 염의 농도 25-35% 범위에서 proteinase I 보다 효소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roteinase 치는 casein 을 기질로 사용하였을 경우, proteinase I 은 6.89 mg/ml, proteinase II 는 9 mg/ml 의 $K_{m}$ 치를 나타내었다. 이결과는 proteinase I 이 II 보다 기질에 대한 친화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종 금속이온의 농도 1 mM 에서는 Pb($CH_{3}$CCO)$_{2}$ 는 효소 활성을 증가시켰고 $ZnSO_{4}$, $7H_{2}$O, $K_{2}$$SO_{4}$, $HgSO_{4}$ 등은 저하시켰으며, 5 mM 이상에서는 $HgSO_{4}$$ZnSO_{4}$ 가 다른 염에 비해서 특히 효소활성을 많이 저히하였다. Proteinase I 과 II 는 대두 단백을 가수분해하여 peptide 와 아미노산을 생성하였으머 peptide 를 다시 아미노산으로 분해하였다. Proteinase I 과 II 는 한국재래식 간장의 중요 맛성분인 아미노산을 생성하는 주효소로 밝혀졌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