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GROUP THERAPY ON SPEECH FLUENCY IN ELEMENTARY SCHOOL STUTTERING CHILDREN

학령기 말더듬 아동 치료에 있어 그룹지도의 효과

  • Shin, Moon-Ja (Department of Child 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 신문자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 정신과)
  • Published : 1991.12.31

Abstract

This study reviewed the stuttering literature and reported the clinical experiment in stuttering intervention. There is still no single answer as to the cause of stuttering or to the most effective therapy for stutterers despite the vast amount of research. One certain thing is that we have come closer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tuttering and to more effective therapy. There have been three main statements about the origins of stuttering ; biologic origins ; psychodynamic origins ; environmental-learning origins. There also have been various methods of the treatment of stuttering. Broadly, two major treatment approaches are attentive ; stuttering modification therapy and fluency shaping therapy. In this experiment, the researcher attempted to investigate complex elements that each child might have and to use an integrative approach rather than to keep the specific one. Individual subjects were evaluated by a multidisciplinary team. Initially, the subjects received individual therapy. They then were placed in group therapy. The purpose of the group therapy was to raise their fluencies to the higher communicative situation and to maintain improved fluency over time. All three subjects improved their fluencies in reading and in conversation and showed the better(SSI)scores in total stuttering behaviors. It was also discussed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sensitive assessment tools to investigate each element of stuttering ; and to develop a therapy program reflecting current advanced stuttering theories.

본 연구에서는 이제까지의 말더듬에 대한 여러 이론들을 살피고 말더듬 치료의 임상 경험을 보고하고자 하였다. 말더듬의 원인이나 치료법에 관한 수많은 연구가 있어왔으나 아직도 이에 대한 한마디의 명확한 답을 내리기는 어렵다 다만 말더듬에 대한 이해를 점차 넓혀가고 있고, 보다 효과적인 치료에 접근하고 있다고 본다. 말더듬의 원인을 기질적 요인으로 보는 주장, 심리적 요인으로 보는 주장, 학습적 요인으로 보는 주장, 환경적 요인으로 보는 주장들이 있어왔다. 이에 따라 치료법도 다양한데 크게는 말더듬 수정법과 단계적 유창성 완성법으로 나누어진다. 본 연구자는 말더듬 치료에 각 아동이 갖을 수 있는 복합적 요인을 살피고 치료에서도 한가지를 고수하기 보다는 통합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하였다. 이에 따라 대상이된 아동들의 문제는 다각적으로 살펴졌고 각 아동은 개별 언어 치료를 받고 이어서 그룹치료를 받았다. 그룹치료의 목표는 좀더 어려운 언어 상황으로까지 유창성을 높이고 유창성의 일반화를 유지하는 것이었다. 대상이된 세 아동은 모두 ‘읽기’ 그리고 ‘대화’, 상황에서 유창성을 높였고 전체 말더듬 행동에도 호전을 보였는데 그룹치료에서는 특히 ‘대화’에서 유창성을 높일 수 있었다. 말더듬의 각 요인들을 살필 수 있는 민감한 진단 도구의 개발과 말더듬 이론이 반영된 보다 진보적인 치료 프로그램의 개발이 계속되어야 함이 토의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