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토르트 살균처리가 적색육 및 백색육 어류의 성분변화에 미치는 영향 -2. 지질성분의 변화-

Changes in Food Components of Dark, White-Fleshed Fishes by Retort Sterilization Processing -2. Changes in Lipid Components-

  • 오광수 (통영수산전문대학 수산가공과) ;
  • 김정균 (통영수산전문대학 수산가공과) ;
  • 김인수 (통영수산전문대학 식품영양과) ;
  • 이응호 (부산수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OH Kwang-Soo (Department of Fisheries Processing & Science, National Tong-Yeong Fisheries Technical College) ;
  • KIM Jeong-Gyun (Department of Fisheries Processing & Science, National Tong-Yeong Fisheries Technical College) ;
  • KIM In-Soo (Department of Nutrition & Science, National Tong-Yeong Fisheries Technical College) ;
  • LEE Eung-Ho (Department of Food Science &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발행 : 1991.03.01

초록

전보에 이어 어육을 원료로 하여 보다 품질이 우수한 고온가열처리 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을 목적으로, 시료 어육을 $121.1^{\circ}C$에서 Fo값을 5, 10, 20으로 달리하여 가열처리 했을 때 지질성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시료 가다랑어육 및 명태육의 TBA값과 과산화 물 값은 가열처리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였고, 감소폭은 가다랑어육 쪽이 컸다. 카르보닐 값은 가열처리 중 가다랑어육은 감소하는 반면, 명태육은 증가하였다. 색조는 양 시료 모두 가열처리 정도가 커질수록 육색이 진해졌으며, 특히 가다랑어육에서 갈변진행이 현저하였다. 지질성분은 가다랑어육에는 NL의 함량이 많았고, 명태는 PL의 함량이 많았다. $98^{\circ}C$의 열처리에서는 양 시료 모두 NL과 PL의 조성비에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121.1^{\circ}C$은 열처리에서는 Fo값 증가할수록 NL의 조성비는 높아지고 PL의 조성비는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L, NL 및 PL의 지방산조성은 $98^{\circ}C$ 열처리에서는 양 시료 모두 조성비의 변화가 지의 없었으나, $121.1^{\circ}C$른 열처리에서는 Fo값이 증가할수록 폴리엔산의 조성비가 점차 감소했으며, 특히 22:6의 감소폭이 컸다. 반면, 포화산 및 모노엔산의 조성비는 증가하였다. 지방산 조성의 변화폭은 명태육 쪽이 가다랑어육에 비해 다소컸다. Fo 20의 열처리에서 TL의 고도불포화지방산의 잔존율은 생시료에 비해 가다랑어육이 $73\%$, 명태육이 $65\%$였다.

In present paper,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lipid components of skipjack and Alaska pollack meat by thermal processing at high temperature. TBA values and peroxide values of both fish meats decreased markedly by heat treatment; decreasing range of TBA and peroxide values in skipjack meat was larger than those of Alaska pollack meat. Also carbonyl value of skipjack meat was decreased by thermal processing, contrary, that of Alaska pollack meat was increased. Total lipid(TL) of skipjack and Alaska pollack meat consisted of $61.9\%,\;49.6\%$ non-polar lipid(NL), $38.1\%,\;50.4\%$ polar lipid(PL), respectively. When the samples were heated at the Fo values of 5 or higher, contents of NL were increased, while that of PL were decreased. In fatty acid composition of NL and PL in both fishes, NL revealed higher contents in saturates and monoenes such as 16:0, 18:1, while PL showed higher contents in polyenes such as 20:5, 22:6; percentages of polyenes such as 22:6 especially in both fishes decreased with increasing of Fo values. The remaining ratio of PUFA(20:5+22:6/16:0) of Fo 20 samples in skipjack and Alaska pollack meat were $73\%$ and $65\%$, respectively. However, when the samples were heated at $98^{\circ}C$ for 30 minutes, no appreciable changes occured in fatty acid composition of TL, NL and PL in both fish meats examin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