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riability of Sea Levels at Mukho and Ullungdo off the East Coast of Korea

한국 동해 묵호와 울릉도의 해수면의 변화

  • LEE Jae-Chul (Department of Oceanograph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KIM Soon-Young (Department of Oceanograph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이재철 (부산수산대학교 해양학과) ;
  • 김순영 (부산수산대학교 해양학과)
  • Published : 1991.11.01

Abstract

Variability of sea levels at Mukho and Ullungdo and sea level difference(SLD) associated with current is investigated. Time series of adjusted sea levels at both places have very similar pattern of change. Two components appear to contribute to the correlation between sea level and SLD. Low frequency thermosteric effect causes the sea level to rise and fall at the same time. Geostrophic effect of major currents is responsible for the sea level change in opposite ways at both sides. Two contributions have a cancelling effect for sea level change at Mukho while they are additive at Ullungdo. Characteristics of time series in frequency domain are divided into two parts with respect to 0.01 cycles per day(cpd). At Mukho, the cancelling effect yields small values of coherence for low-frequency bands whereas the dominant geostrophic influence may be responsible for the phase relations of about $\pm 180^{\circ}$ between sea level and SLD at higher frequency. Bimonthly dynamic height difference(DHD) between Mukho and Ullungdo is very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LD. This result suggests that DHD thus the average velocity of current through the Mukho-Ullungdo section can successfully be diagnosed by the sea level records at both locations. For the annual variations, maximum SLD occurs at Mukho-Ullungdo section about 40 days later than the Korea Strait.

묵호와 울릉도에서의 해수면 및 해류와 관련된 해수면차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기압보정된 두곳의 해수면의 시계열자료는 매우 유사한 변화 양식을 보여준다. 해수면과 해수면차의 상관관계에는 두 가지 성분이 기여를 하는데 저주파의 밀도효과는 양쪽의 해수면이 동시에 상승$\cdot$하강하도록 하고 지형류 효과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진동하도록 한다. 두 가지 효과는 묵호에서는 서로 상쇄되는 반면에 울릉도에서는 더해진다. 주파수 영역에서의 시계열의 특성은 0.01 cpd를 중심으로 두 부분으로 나된다. 묵호에서는 저주파수에서 두 가지 효과가 상쇄됨으로써 상관성이 낮은 반면에 고주파수에서는 지형류 효과가 우세하여 해수면과 해수면차 사이에 $\pm 180^{\circ}$의 위상차가 생긴다. 묵호와 울릉도 사이의 역학고도의 차와 해수면차는 상관성이 높은데, 이는 묵호-울릉도 사이의 평균유속이 양쪽의 해수면 자료를 통하여 성공적으로 파악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연변화에 있어서 묵호-울릉도의 해수면차의 최대치는 대한해협보다 약 40일 늦게 나타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