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ribution of dinoflagellate cysts in Masan Bay, Korea

마산만일대(馬山灣一帶) 와편모조류(渦鞭毛操類) 휴면포자(休眠胞子)의 분포(分布)

  • Published : 1991.12.01

Abstract

The distribution of dinoflagellate cysts have been investigated at 6 stations in Masan Bay, a well known area of red tide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from May 1986 to March 1987. During the study, a total of 11 species in dinoflagellate cysts were isolated from surface sediments, representing 6 genera, 9 species and 2 unidentified species. The standing crops of dinoflagellate cyst varied extensively by month and station; ranging from 48 to 1,279 cells/cm$^3$ and showing major peaks in July. August and February. At stations, the distribution was most abundant at st. 4 (mouth of the bay), whereas it was very low at st. 1 (inner bay), where motile cell's blooms occur throughout the year. Thus, It is speculated that the distribution between the plankton and cyst populations of dinoflagellates show the different temporal and spatial patterns in a semi-closed bay like this survey area.

1986년 5월부터 1987년 3월까지 적도가 만연하고 있는 만산만일대 6개 정점의 저 질표층으로부터 외편모조류 휴면포자(시스트)를 분리하여 월별 및 정점별 분포를 조사 하였다. 조사기간 중 총 11종류의 와편모조류 휴면포자가 분리되었으며 6속 9종 2 미 동정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휴면포자의 현존량은 월별, 정점별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48-1,279 cell/$cm^3$의 분포범위를 보였다. 월별로 보면 7, 8월, 그리고 2월에 가장 높 았으나 그외 시기에는 낮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정점별로 보면 만 입구인 정점 4에서 가장 많고 만 내인 정점 1에서 가장 적게 분포하고 있으나 와편모조류 유영세포는 만 내에서 년중 가장 높은 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반폐쇄적 만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마산만에서는 와편모조류의 유영세포와 휴면포자의 분포는 시, 공간적으로 다른 분포특성을 보이고 있다고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