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entification of Spilled Oils in the Marine Environment by Fluorescence Fingerprints and Library Search System

해양유출유의 형광지문에 의한 식별연구

  • 박용철 (인하대학교 이과대학 해양학과) ;
  • 김영희 (해양경찰청 해양오염관리부) ;
  • 이창섭 (해양경찰청 해양오염관리부) ;
  • 이기복 (인하대학교 이과대학 해양학과)
  • Published : 1991.12.01

Abstract

Multi-spectral analyses of excitation and emission fluorescence was applied to spilled crude oils in characterization of their specific fluorescence patterns which is called oil fingerprints. In the present study, oil fingerprints of 33 crude, 4 fuel and 2 other oils were analyzed to establish data base library search system.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crude oils could be classified into two large groups according to their fluorescence characteristics. In simulated experiments, all the spilled sources was identifiable by the present library search system. In the natural environment this system could identify the exact source of weathered crude oil slicks upton 10 days.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the fluorescence fingerprinting method with the library search system is reliable and superior to toutine GC/HPLC analyses in identification of the source of weathered spilled oils in the marine environment.

해양에 유출되는 유류오염의 정확하고 신속한 식별을 기하기 위하여 국내에 반입 되는 33종의 원유와 기타 6종 등 총 39종 유류의 형광특성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각 유류는 내포되어 있는 방향족 화합물의 특성에 따라 독특한 유류지문도를 보였다. 이 들에 대한 다변량 통계분석의 결과 대체로 2개의 유류군으로 대분되었다. 이들 유류가 해양에 유출된 뒤 10일이 경과되어도 물리화학적 풍화작용과 미생물에 의한 분해작용 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기법으로 오염 유류원을 식별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하여 GC 에 의한 조사에서는 6일 경과된 풍화유출유의 경우 탄소수가 12 이하인 화합물의 상당 부분이 소실되어 나타나 유류식별이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로 해양에 유출된 유류 의 정확하고 신속한 유류원 판별 식법으로 형광지문이 검증되었으며 풍화과정이 형광 지문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형광특성 측정을 이용한 응용방법이 논의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