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Population Density of Chigger Mites, the Vector of Tsutsugamushi Disease in Korea

쭈쭈가부시병의 매개체로 알려진 털진드기의 개체군 밀도에 관한 조사

  • 이한일 (연세대학교 기생충학교실) ;
  • 이명철 (연세대학교 기생충학교실) ;
  • 이인용 (연세대학교 기생충학교실)
  • Published : 1991.04.01

Abstract

Studies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the seasonal prevalence of chigger mite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L. paflidum, a vector species of tsutsugamushi disease were carried out during the period of July 1989-October 1990. From total 111 field rodents collected during the study period, 4,498 chiggers were obtained and 12 species of 4 genera were identified. L. paflidum, the vector species was the dorninant species, showing 65.6% of the total chiggers. L. scutellare, known as the important vector species of tsutsugamushi disease in Japan was not found in the study area, except Yesan-gun, Chungcheong-namdo where only one specimen was collected. The distribution of chigger mites was clearly localized by species, showing the different dominant species by locality. The population density of L. paflidum was high at two study areas, moderate at one area and very low at six other areas, compared to the other species. The study on seasonal prevalence of L. paflidum population density resulted that they started appearing in September (9.8%), showed the peak in October (45.4%) and November (30.6%), almost disappeared during the period of December-March (1.3-0%), reappeared in April (12.7%) showing a small peak, and again almost disappeared until September. L. palpafe was appeared only in winter and spring (December-April).

과거의 국내 털진드기에 관한 연구는 종 동정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었고 근래에 와서 지역적 분포상을 조사한 몇개의 보고 예가 있을 뿐, 털진드기의 계절적 소장을 체계적으로 조사한 것은 아직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1989년 7월부터 1990년 10월에 걸쳐 털진드기 개체군에 대한 지역적 분포상과 계절적 소장에 관한 조사를 쭈쭈가무시병의 매개종인 Leptotrombidium pallidum을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중 Sherman식 live trap을 사용하여 포힉한 총 111마리의 들쥐로부터 4,498 개체의 털진드기를 채집하여 4속 12종을 동종하였는데, 쭈쭈가무시병의 매개종인 L. paflidum이 2,951 개체로 전체의 65.6%를 차지하여 우점종이었다. 일본에서 매개종으로 알려진L. scutellare는 1개체만 채집되었다. 털진드기의 개체군 밀도의 지리적 분포상이 종에 따라 심한 차이를 보여 각 조사 지역마다 우점종이 다르게 나타났다. 9개 조사지역 가운데 L. paflidum 개체군 밀도가 특히 높은 지역은 경기도 고양군 도래 5리와 경기도 부천시 부곡동의 2개 지역이었고, 다른 3개 지역에서는 타 종에 비해 극히 낮은 밀도를 보였다. 매개종 L. paflidum 개체군의 계절적 소장을 보면 9월(9.8%)에 출현하기 시작하여 10월(45.4%)과 11월(30.6%)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였고, 그 후 거의 자취를 감추었다가 4월(12.7%)에 일시적 증가를 보인 후 9월까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L. palpale는 겨울과 봄에만 주로 출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