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quity-Efficiency Trade-off: the Case of Inheritance Tax

상속세(相續稅)에 있어서의 형평(衡平)과 효율성(效率性)의 괴리(乖離)

  • Published : 1990.12.31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redistributive inheritance tax on income distribution and social welfare. The model used here is the Overlapping-Generations Model consisting of individuals with different bequest motives where the lifetime income distribution in each cohort is determined endogeneously by the dynamic bequest process. It is shown that the introduction of redistributive inheritance tax can improve the vertical equity in the sense that the increase in tax rate reduces the coefficient of variations of intra-cohort income distribution in steady-state. However, it is also shown that, the effect on social welfare, when measured by Benthamite SWF, is uncertain in general. The numerical simulations show that, in spite of its equity-enhancing effect, the tax increase can actually lower the steady-state social welfare within the plausible range of parametric values, through the long-run output effect as well as the deadweight welfare loss incurred by tax distortion. Hence, the problem of equity-efficiency trade-off can arise in this case. However, if both the market interest rate and the elasticity of marginal utility in individual's preference function are sufficiently high, it is shown to be possible that the steady-state social welfare is enhanced by the introduction of inheritance tax.

본고에서는 소득(所得) 또는 부(富)의 불평등도(不平等度)가 상속과정(相續過程)에 의해 야기 될 경우, 재분배적(再分配的) 상속세(相續稅)의 도입이 소득분포(所得分布)의 불균등도(不均等度) 및 사회후생(社會厚生)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유산동기가 서로 다른 개인(個人)들로 구성된 중복세대 모형을 설정하여 상속세율(相續稅率)의 변화시 정체균형간(停滯均衡間)의 비교정학적 분석을 통하여 분배(分配) 및 후생효과(厚生效果)를 고찰하였다. 본고의 분석에 의하면 비례적(比例的) 상속세(相續稅)를 이용한 재분배정책(再分配政策)은 소득분포(所得分布)의 불균등도(不均等度)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나, 장기적(長期的)으로 평균소득(平均所得) 및 자본량(資本量)에 미치는 효과는 효용함수(效用函數)의 형태(形態)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조세왜곡(組稅歪曲)에 의한 후생상실효과(厚生喪失效果)로 말미암아 상속세율(相續稅率)의 증가가 재분배효과(再分配效果) 및 정(正)의 장기소득효과(長期所得效果)를 갖더라도 사회후생(社會厚生)은 오히려 감소할 수 있음을 보였다. 경험적(經驗的)으로 합당(合當)하리라 기대되는 상수(常數)값을 이용한 수량적(數量的) 시뮬레이션 결과에 의하면, 실질이자율(實質利子率)이 그 황금률 수준보다 높고 한계효용(限界效用)의 탄성치(彈性値)가 충분히 클 경우에 한하여 상속세율(相續稅率)의 증가는 분배개선효과(分配改善效果)와 아울러 공리주의적 사회후생함수(社會厚生函數)의 값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일 이러한 조건이 충족되지 않을 경우 상속세(相續稅)를 이용한 소득재분배정책(所得再分配政策)은 오히려 사회후생(社會厚生)을 낮추는 하향평준화(下向平準化)을 효과(效果)만을 갖게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