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imating the Tax Revenue Function of the Personal Incomes

개인소득세수함수(個人所得稅收函數) 추정(推定)

  • Published : 199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the revenue function of the personal income tax of Korea. Unlike the traditional approach employing the data adjustment, this paper explicitly includes the explanatory variables of the tax rate or schedule in the revenue function and further estimates the functions by income sources such as labor, interest, global, and dividend incomes. One of the main findings is the GNP elasticity of the combined personal income tax is around 1.2 when evaluated on the basis of the estimates of the GNP elasticities of tax revenue from respective income sources, which is somewhat smaller than those in the previous studies. Another interesting result is that the GNP and interest rate elasticities of the interest income, are found around one and .15 respectively, as expected. Also, the estimate of the tax-free income coefficient is significantly negative in the labor income tax revenue function.

본고(本稿)의 목적은 개인소득세(個人所得稅)의 세수예측(稅收豫測)을 위한 모형개발(模型開發)에 있다. 일반적으로 개인소득세(個人所得稅)는 소비세 또는 물품세와는 달리 복잡한 세율구조(稅率構造)를 가지므로 통계자료가 가능한 소득세(所得稅) 종류별(種類別) 세수함수(稅收函數)(근로소득세, 이자 및 배당소득세, 종합소득세 등의 세수함수)에 소득(所得), 세율구조(稅率構造), 세율수준(稅率水準), 소득분배(所得分配), 세제(稅制)(면세점(免稅點), 공제제도(控除制度) 등)를 설명변수(說明變數)로 포함시켜 추정해 보았다. 그리고 종합소득세(綜合所得稅)는 신고(申告) 및 예납(豫納)된다는 데 착안하여 적절한 시차(時差)를 가지는 세수함수(稅收函數)로 설정하여 추정하였다. 상이한 접근방법으로 인하여 적접적인 비교는 어려우나 개인소득세수(個人所得稅收)의 소득탄력성(所得彈力性)이 기존의 추정치보다 작은 1.2~1.3으로 나타났다는 점이 본고(本稿)의 주요 결과 중 하나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