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ilient Modulus of Weathered Granite Soil in the Central Part of Korea

화강암풍화토의 동탄성계수에 관한 연구 -중부지역을 중심으로-

  • 김주한 (정회원, 경원대학교 이공대학 토목공학과) ;
  • 이종규 (정회원, 단국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Published : 1990.03.01

Abstract

Over the years, most pavement designs based on soil strength and permanent strain are almost independent of soil elasticity. However, it was found that plasticity and elasticity of soil have both effected on the failure of pavement structures. The elasticity of soil, hence, using the resilient modulus is reflected for recent pavement design. Although the current AASHTO specifications(1986) for pavement design had changed the soil support value to the resilient modulus, triaxial devices conducting the resilient modulus test have not been fully equipped in a great majority of laboratories. Thus, in the present work, such a resilient modulus is usually derived(from CBR, K values, etc.) by estimating equ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silient modulus of weathered granite soils sampled from 4 points of the central region of Korea by means of AASHTO T 274-82. According to this, some empirical equations for predicting that of the weathered granite soil are proposed and then, the relationship to convert CBR into the resilient modulus is developed.

지금까지 포장설계의 기본개념에는 흙의 탄성적 성질이 거의 반영되어오지 않았다. 그러나 포장의 파괴는 흙이 갖고 있는 일부 탄성적 성질에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서 최근 동탄성계수라는 요소를 도입함으로서 흙의 탄성적 성질을 포장설계에 반영하게 되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AASHTO(1986)에서는 체장구달설계지부서를 확정지으면서 그동안포장구 조설계 잠정지침서의 기본식에서 사용하든 노고토지지치를 동탄성계수로 대체하였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이 시험방법과 시험장비가 보편화되어있지 않으므로 대부분의 경우 CBR값, K값, R값등 으로 부터 동탄성계수를 구하는 환산식에 의하여 동논경계수를 추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부지역 4개지점의 유상륜가화토에 대하여 AASHTO의 시험방법(T 274-82)으로 동탄성계수를 직접 구하고 이를 근거로 우리나라 중부지역 고상암풍화토의 동탄성계수를 주응력의 합계로부터 확정하기위한 식을 제안하였으며 또한 종래 가효성포장설계에 적용하여 왔던 CBR시험 결과로 부터 동탄성계수를 환산하기 위한 관계식을 구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