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ectrophoretic Analysis on the Protein Alteration in the Brain of Actylamide Administered Mouse

Acrylamide 에 의한 생쥐 뇌단백질의 변화양상에 관한 전기영동적 분석

  • Published : 1990.10.01

Abstract

To investigate the neurological effect of acrylamide, whole brain of Intoxicated mouse induced early hindlimbs ataxia was examined by using the methods of SDS-PAGE and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In the gel patterns by SDS-PAGE, when the patterns of each group were compared relatively, there were no remakable changes but in the patterns of 2D-PAGE, some protein alterations were observed. Especially, the spots containing 20 (14,500, 5.64) and 21 (19,900, 6.78) were disappeared, and the spots 9 (31,300, 5.82), 11 (31,300, 5.36) and 19 (16,400, 5.42) showed marked decrease relatively in the case of treatment group. Among these changed spots, the spot 20 (14,500, 5.64) showed higher quantity than that of control group but several spots containing the spots 11 (31,300, 5.36), and 19(16.400, 5.42) were identical or equal to those of control In quantity in the case of recovery group. It seems that acrylamide might already inhibit the brain protein synthesis mechanism at the time of onset of distal neuropathy by participation in the protein metabolism so as to impair the brain regulation ability followed by a malfunction of mouse central nervous system (CNS) and recovery is gradually progressed with the dose and duration dependence after the cessation of acrylamide administration.

Acrylamide의 신경독성에 대해 조사하기 위하여 초기 후지마비 증상이 유도된 생쥐의 뇌를 SDS-PAGE와 이차원 전기영동법으로 분석한 결과, SDS-polyacrylamid gel 전기영동에 의해 처리군, 대조군 및 회복군을 비교하여 보았을때 두드러진 양상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이차원 전기영동상에서 실험군간의 다소 상이한 단백질 양상이 관찰되었다. 특히, 처리군에서 spot 20(14,500, 5.64),21(19,900, 6.78)및 수개의 단백질이 소실되었으며 spot 9(31,300, 5.82),11(31,300, 5.36) 및 19(16,400, 5.42)들은 비교적 많이 감소되었다. 처리군에서 양적변화를 보인 이들 spot중에서 spot 20 (14,500, 5.64)는 회복군에서 대조군 보다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spot 11(31,300, 5.36),19(16,400, 5.42) 및 다수의 spot들은 회복군에서 대조군과 대등한 양상을 보여주었다. 위와같은 실험결과는 acrylamide가 초기적 말초신경 장애를 나타내는 시기에 이미 뇌의 단백질대사에 관여함으로써 단백질합성이 저해되고, 이로 인하여 뇌의 조절능력이 부진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중추신경계의 이상이 일어나게 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손사에 대한 회복은투여된 농도 및 기간에 의존하여 acrylamide에 대한 노출이 중지된 후 점진적인 자구적 복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