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틀 전송 장치의 지터 허용치

Jitter Tolerances in Digital Transmission Equipment

  • Ko, Jeong-Hoon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 Lee, Man-Seop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 Park, Moon-Soo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발행 : 1989.03.01

초록

디지틀 전송장치에서 지터 허용치는 신호를 재생하기 위해 사용하는 클럭 추출 회로의 특성에 좌우되며, 특히 비동기 다중화 장치에서는 이외에 프레임 형태, 이로인한 위치맞춤의 형태(justification process), 동기화기/역동기화기에서의 버퍼 단수, PLL의 전달함수, PLL의 동작범위 등이 지터 허용치에 큰 변수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비동기 다중화 장치에서, 이상의 변수가 주어졌을 때 지터 허용치를 구하기 위한 새로운 알고리듬을 제시하였으며 이 알고리듬을 이용해 이상의 변수가 입력 지터 허용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45M - 140M 다중화 장치에서 입력지터 허용치를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계산치와 근사함을 보였다.

In the digital transmission equipment, the input jitter tolerance is a function of input timing recovery circuit characteristics. Especially, in the asynchronous multiplexers, it is also a function of the frame format, the buffer sizes in the synchronizer and desynchronizer, the PLL transfer function, and operating range of VCO in PLL In this paper, a new algorithm for calculating the jitter tolerance of the saynchronous digital transmission equipment is presented. With the new algorithm, we analyzed how the above factors limit the jitter tolerance in the equipment. We also measured the input jitter tolerance for a 45M-140M multiplexing equipment, whose results show the same trend with calculated toleranc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