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perties of a Lactobacillus acidophilus Bacteriocin

Lactobacillus acidophilus Bacteriocin의 성상에 관한 연구

  • 정영건 (영남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 안장연 (영남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 권오진 (영남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 강주회 (대구대학교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89.04.01

Abstract

Seven gtrains of Lactobacillus produce bacteriocin being active for Lacidophilus. All strains producing bacteriocin were found to be L. acidophilus except with one strain of L. gasseri. The maximum activity of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bacillus strains was obtained at a middle or late stage of the log phase, or a early stage of the stationary phase. After the maximum was reached, however, the activity was rapidly decreased. The bacteriocins were inactivated easily by the treatment with proteolytic enzymes but not with nucleolytic enzymes, suggesting that the bacteriocin was proteinaceous. The bacteriocins were different from the other previously reported lactobacillus bacteriocin in their flexibility to the treatment at 10$0^{\circ}C$. Bacteriocins of L. acidophilus ATCC 9857 and 4357 decreased in activity by the treatment with diethylether, presumably the bacteriocin contained of a lipid component. It sums likely that L. acidophilus A4 bacteriocin adsorb to a regularly arrayed layer of the cell wall.

1. L. acidophilus 균주에 작용하는 bacteriocin을 생산하는 Lactobacillus속 균 7주를 발견하였다. bacteriocin 생산균주는 1주가 L. gasseri였고, 그 외에는 모두 L. acidophilus였다. 2. 조사한 bacteriocin생산 6균주 중 5균주는 대수발육 중기 혹은 후기 내지 정상기의 초기에 최대의 bacteriocin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그 후 급격히 활성이 감소하였다. 3. 이들의 bacteriocin은 단백분해효소 처리로 용이하게 실활하는 단백질성임을 나타내었으나, 핵산분해 효소에는 저항성이었다. 또 이들의 bacteriocin은 지금 까지 보고되고 있는 Lactobacillus속의 bacteriocin과 다르며, 정도의 차는 있으나 전부 10$0^{\circ}C$ 가열에 감수성이 있었다. 4. L. acidophilus ATCC 9857 및 L. acidophilus ATCC 4357이 생산하는 bacteriocin은 diethylether 처리에 활성이 감소하므로 지질을 함유함을 시사하였다. 5. L. acidophilus A4가 생산하는 bacteriocin은 지시균의 세포벽 외층의 규칙적 배열구조에 흡착함을 시사하였다. 또 L. acidophilus ATCC 4355가 생산하는 bacteriocin은 지시균의 세포벽에는 흡착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