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Food Components on Lipid Oxidation and Browning

지질의 산화 및 갈변에 미치는 각종 식품성분의 영향

  • Park, Jung-Hee (Dep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Choi, Byeong-Dae (Dep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im, Tae-Soo (Dept. of Food Technology, Dongeui, Technical Junior College) ;
  • Lee, Jong-Ho (Dep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박정희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최병대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김태수 (동의공업전문대학 식품공업과) ;
  • 이종호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1989.06.30

Abstract

Some sugars and proteins were mixed with yellow corvenia lipids, soybean lipids or see yolk lipids to study the influence of the sugars or proteins on lipid oxidation and browning in dry and wet system during kept at $40^{\circ}C$. In the yellow corvenia lipids mixed with various food components, peroxide value(POV), carbonyl value(COV) and brown pigments were much higher than the case that soybean lipids or egg folk lipids were mixed. In terms of the food components, they appealed high in glucose, sucrose and starch but low in albumin and casein. When the soybean lipids were mixed, POV appeared low in all these maxture. COV and brown pigments appeared high in glucose, sucrose and starch but low in albumin and casein. In the case of egg york lipids, POV appeared lower than that of soybean lipids but COV and brown pigments were similar. In the starch mixture of three lipids in wet system, POV and COV in yellow corvenia lipids appealed lower, but appeared higher in soybean lipids and egg yolk lipids than those in dry system. Brown pigments appeared similarly with the case in dry system. And the all mixtures of casein in wet system, POV and COV appealed lower thanthose of the dry system, but brown pigments appeared high.

당이나 단백질등의 식품성분이 지질의 산화와 갈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종 식품성분에 조기유, 대두유 및 난황유를 각각 9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건계의 실험구를 조성하고 건계에서의 실험결과 지질산화가 촉진되었던 starch구와 억제되었던 casein구에 각각 물을 20% 첨가하여 습계의 실험구를 조성하여 $40{\pm}1^{\circ}C$보존중의 과산화물가, 카아보닐가 및 갈변도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건계에서의 지질산화와 갈변은 조기유 혼합구의 경우는 대두유와 난황유 혼합구에 비해 과산화물가, 카아보닐가 및 갈변도가 월등히 높았다. 식품성분별로는 glucose, sucrose 및 starch구에서 높게 나타났고 cellulose, albumin 및 casein 구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대두유 혼합구에서는 전 구분 공히 과산화물가가 낮았으며 카아보닐가와 갈변도는 glucose, sucrose 및 starch 구에서는 높게 나타났고 albumin과 casein구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난황유 혼합구에서는 과산화물가가 대두유 혼합구에서보다 낮았으며 특히 albumn과 casein구는 보존9주까지 과산화물가가 측정되지 않았다. 카아보닐가와 갈변도는 대두유와 동일한 경향이었다. 습계에서의 지질산화와 갈변은 각 지질을 starch에 혼합시킨 경우 조기유 혼합구에서는 과산화물가와 카아보닐가가 건계에서 보다 낮았으며 난황유 및 대두유 혼합구에서는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갈변도는 건계에서와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다. 각 지질을 casein에 혼합시킨 경우 과산화물가와 카아보닐가는 각 지질 공히 건계에서보다 낮았으나 갈변도는 오히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지질의 산화와 갈변도와의 상관관계를 검토해 본 결과 갈변반응은 건계에서보다 습계에서 잘 일어나며 지질의 산화정도가 낮은 식품계에서 생성된 갈변반응물질은 지질의 산화에 억제효과를 나타내나 지질의 산화가 격심한 식품계에서는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거나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