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advertent Dural Puncture during Epidural Block

경막외 차단시의 경막천자

  • Kang, Keum-Ye (Department of Anesthesi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Min, Ki-Chul (Department of Anesthesi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Kim, Dong-Chan (Department of Anesthesi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Choe, Huhn (Department of Anesthesi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강금이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마취과학교실) ;
  • 민기철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마취과학교실) ;
  • 김동찬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마취과학교실) ;
  • 최훈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마취과학교실)
  • Published : 1988.12.30

Abstract

Evaluation of inadvertent dural puncture occuring among 308 epidural blocks done for the relief of pain from various conditions was performed. Dural puncture was suspected in 5 out of 308 epidural bloks. (1.6%) Aspiration of CSF was negative in 3 cases in which dural puncture was suspected only after developing spinal anesthesia. Of the 3 negative CSF aspirations, one case had a history of laminectomy. Adhesions of the adjacent tissues might result in the loss of flexibility and a decrease in potential epidural space which might cause dural tearing during injection and subarachoid injection of the local anesthetic followed by high spinal anesthesia. In another case, the needle tip was obstructed by tissue which led to negative aspiration of CSF and failure to feel loss of resistance. The second injection at the same site may cause subarachnoid injection of the local anesthetic through the previously perforated dura mater and in turn, lead to spinal anesthesia. In the last case, there was no reason to suspect dural puncture since the loss of resistance plus air rebound were definite and aspiration of CSF was negative, but dural puncture was suspected after the patient developed spinal anesthesia.

1) 통증치료 목적으로 실시한 308경막외 천자 중 원치 않는 경막천자를 일으킨 경우가 5회(1.6%)있었다. 2) 경막천자를 일으킨 5예 중 2예에서는 뇌척수액이 흡입되어 천자당시 알 수 있었으나 나머지 3예에서는 국소마취제 주사 후에 나타나는 척추마취 증상으로 경막천자를 추축할 수 있었다. 3) 뇌척수액이 흡입되지 않은 3예 중 1예에서는 추궁절제술 후 주위조직의 유착으로 인한 경막외강의 신축성 소실 또는 잠재공간의 감소를 일으켜 경막외 주사시의 압력에 의해 경막손상을 입었으리라는 추측이 가능하였고 1예에서는 조직편에 의한 주사침의 폐쇄로 실질적인 경막천자후 뇌척수액 흡입이 음성이었던 것으로 추출되었다. 나머지 1예에서는 경막천자를 의심할만한 이유가 없었으나 나타나는 증상에 의해 경막천자를 의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경막외 차단 중에는 숙련된 술자에 의해서도 원치않는 경막차단이 일어날 수 있고 특히 뇌척수액의 흡입이 음성인 경우에도 경막천자가 가능하므로 술자에게는 고위 및 전척추마취에 대한 충분한 예비지식 및 응급소생술을 포함한 대처방안이 미리 마련되어 있어야 하고 환자에게 시술전 그 가능성을 인지시켜야 하며 외래 환자의 경우 보호자와 동반 하지 않은 경우는 시술을 될 수록 피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