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내 종합병원 응급실에 찾아온 소아사고 환아의 사고원인

Causes of Childhood Injuries Observed at the Emergency Rooms of Five Hospitals in Taegu

  • 박정한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배영숙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 Park, Jung-Ha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Bae, Yeong-Sook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t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88.11.01

초록

소아사고의 원인과 발생시 상황을 조사하여 사고의 예방대책을 수립하는 자료를 얻고자 1987년 1월 1일부터 1987년 12월 31일까지 대구시내 3개 대학병원과 2개 종합병원 응급실에 찾아온 만 15세 미만의 총 소아환자 15,790명 중 사고환아 4,849명(30.7%)을 대상으로 사고원인, 사고의 발생장소와 시간 등을 조사하였다. 자료는 응급실 진료부와 입원 병력지에서 얻었다. 전체 사고환아의 54.6%가 3-8세 사이였고 총 사고환아의 남녀 성비는 약 2:1로써 남아가 많았다. 사고원인은 추락 또는 넘어져 다친 경우 29.1%와 교통사고 28.2%로 가장 많았다. 사고의 원별 분포는 5-10월 사이가 다른 달보다 더 많았다. 1일중 사고 발생시간은 오후 3-8시 사이에 51.6%가 일어났다. 추락 또는 넘어져 다친 장소는 계단이 25.7%로 가장 많았다. 폭력에 의한 사고는 놀이시 부주의로 인한 경우가 85.6%로 대부분이었으며 강간도 11건이 있었다. 교상은 개에게 물린 경우가 67.6%를 차지했으며 남아와 여아의 비가 2.9:1로써 남아가 많았다. 중독사고는 일산화탄소 중독이 45.3%로 많았으며 화상은 뜨거운 물, 또는 음식물에 의한 것이 85.2%를 차지했다. 물에 빠진 경우는 강물에서 32.2%, 수영장에서 22.6%, 공사장에서 19.3%를 차지했다. 소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우리의 생활환경에서 위험요인을 제거하고, 어린이가 안전하게 놀 수 있는 놀이터를 마련해 주고, 어린이에게는 학교 교육을 통해, 그리고 일반대중에게는 대중매체를 통해 안전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그리고 주택, 공공건물 및 시설, 놀이터, 주방용기를 포함한 공산품의 안전기준을 설정 또는 강화하여 규제해야 할 것이다.일 하중 조건하에선 점막에 나타나는 등가 응력의 크기 및 분산양태는 유사하였다. 5. 하악골에서 등가 응력은 의치지지 부위에만 국한되지 않고 넓게 분산 되었으며 의치상 종류 및 하중 조건에 관계없이 치조제 후방 및 하악연의 후방 부위에 특히 높은 등가응력이 집중되었다. 6. 하악 중절치의 일점에 수직 하중을 가한 경우가 다른 하중 조건에 비하여 지지점과의 거리차이로 인하여 하악골에 가장 높은 등가 응력을 유발하였다. 7. 의치상 재료에 따른 하악 골에 발생되는 응력의 크기 및 분산에는 큰 차이가 없으나 금속상의 경우가 교합압을 분산하는데는 효과적이었다.h clinical experiment patients. 본 연구 결과로 낙지의 PCA검색으로써 항체주사 부위에 Evan's Blue 착색으로 인하여 vascular permation이 일어나 allergynicity 반응이 인정되므로 낙지는 allergy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조기, 홍어, 새우도 역시 allergenicity성이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공정 중 microwave와 autoclaving은 4가지 수산식품 낙지, 조기, 홍어, 새우의 allergenicity를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자외선은 단백질로 구성된 allergen의 구조는 크게 변화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보여진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생선의 가공방법은 통조림 가공이나 microwave 처리가 allergenicity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낙지, 조기, 홍어, 새우의 한외여과 fraction중 고분자인 100,000이상에서만 allergenicity가 나타났다. 따라서 이 allergen들의 분자량은 100,000 이상으로 추정되며

To determine the causes of and related factors to childhood injuries, the emergency room records and inpatient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for 4,849 injured children out of 15,790 pediatric patients(<15 years old) who visited the emergency rooms of 3 university hospitals and 2 general hospitals in Taegu from 1 January to 31 December 1987. Out of total injured children, 54.675 were 3-8 years old and the male to female ratio of the total injured children was about 2:1. The leading causes of injury were falls and slips (29.1%) and traffic accident(28.2%). The frequency of injury was higher in May-October than the rest of months and 51.6% of the injuries occurred between 15 and 20 o'clock. Falls and slips took place most frequently at the stairway(25.7%). The most common interpersonal violence was inflicted injuries(85.6%) and there were 11 child rapes. Dog bites accounted for 67.6% of all biting injuries and it occured 2.9 times more in male than in female. CO intoxication was the most common cause of poisoning (45.3%) and scalding accounted for 85.2% of all burns. Common places of drownings were river (32.2%), swimming pool (22.6%) and construction site(19.3%). To prevent childhood injuries, it is recommended to eliminate the hazardous environmental factors, to provide safe playgrounds, to educate the children for safety from kindergarten and the general public through mass communication, to establish a strict safety standard for houses, public buildings and facilities, and playground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