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변량분석(多變量分析)에 의(依)한 죽간(竹稈)의 성장해석(成長解析)에 관(關)하여

An Analytical Study on the Growth Factors of Bamboo Culm by the Multivariate Analysis

  • Lee, Kwang Nam (College of Agricultu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Cha, Gyung Soo (College of Agricultu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1987.08.10
  • 발행 : 1987.12.31

초록

죽간(竹稈)의 각종성장인자간(各種成長因子間)의 관계(關係)와 그의 배후구조(背後構造) 및 총합적특성(總合的特性) 등(等)의 성장생리(成長生理) 현상(現象)을 구명(究明)하고져, 전남담양지방(全南潭陽地方)의 왕죽림(王竹林)을 대상(對象)으로하여, 이에 다변량해석(多變量解析)을 실시(實施)하였는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상장성장인자군(上長成長因子群)과 비대성장인자군간(肥大成長因子群間)의 정준상관(定準相關)에 있어, 전자(前者)와 후자(後者)의 종합특성(綜合特性)은 각각(各各) 간고(稈高)($x_1$)와 최대절간직경(最大節間直徑)($x_7$)의 영향력(影響力)에 의(依)해서 형성(形成)되며, 양적성장인자군(量的成長因子群)과 질적성장인자군간(質的成長因子群間)의 정준상관(定準相關)에 있어, 양자(兩者)의 총합특성(總合特性)은 전자(前者)는 양면적(兩面的)($x_{10}$), 후자(後者)는 최대절간직경(最大節間直徑)($x_7$)의 결정적(決定的)인 영향력(影響力) 하(下)에서 형성(形成)됨을 알 수 있다. 2) 죽간(竹稈)에 대(對)한 10차원(次元)의 정보(情報)는 유효목표(有效目標) 90% 하(下)에서 2차원(次元)으로 간약화(簡約化)되며, 제(第) 1 주성분(主成分)($Z_1$)은 "크기의 인자"로서 면고절간장(眠高節間長)($x_5$)을 제외(除外)한 모든 성장인자(成長因子)와 매우 높은 상관(相關)이 있으며, 제 2 주성분(主成分)($Z_2$)은 "형상(形狀)의 인자(因子)"로서 $x_5$와 높은 상관(相關)을 가질 뿐 기타(其他)의 성장인자(成長因子)와는 거의 무관(無關)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죽간(竹稈) 및 그의 각종성장인자간(各種成長因子間)의 내재현상(內在現象)은 매우 높은 공통성(共通性)(94.16%)을 지닌 2개(個)의 공통인자(共通因子)에 의(依)해서 규정(規程)되며, 이에 의(依)해서 10개(個)의 성장인자(成長因子)는 분량(分量)과 형질계(形質系) 등(等)의 2가지 속성(屬性)의 인자(因子)들로 분류(分類)된다. 4) 공시죽(供試竹) 24본(本)은 대체적(大體的)으로 총합형(總合型), 체적형(體積型), 형질형(形質型), 열등형(劣等型), 중용형(中庸型) 등(等)의 5개유형(個類型)으로 분류(分類)될 수 있다.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lated phenomena, the latent structures and synthetical characteristics in various growth factors of Phyllostachys bambusoides Sieb. et Zucc. growing at Damyang gun, Chollanamdo, using multivariate analysis. 1. By synthetical characteristics in canonical correlation between height-growth factor group and diameter-growth factor group, the former was determined by the culm height ($x_1$), and the latter by the. diameter of the largest internode($x_7$). And for those between quantitative growth factor group and qualitative growth factor group, the former was determined by the surface area($x_{10}$), and the latter by the diameter of the largest internode ($x_7$). 2. The ten growth factors of bamboo culm were simplified by two principal components on the basis of accumulated proportion aimed at 90%.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Z_1$) as a "size factor"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growth factors except eye-height diameter($x_5$). The second principal component($Z_2$) as a "shape factor" showed high correlation only with $x_5$. 3. The bamboo culm, and the latent phenomenon between their growth factors could be determined by two common factors showing high communality(94.16%). The ten growth factors can be grouped into two attribute factors: quantity and quality. 4. The bamboo culms can be classified into five types: total, volume, shape-quality, inferior and middl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