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dcutivity of Silage Corn Affected by Planting Dates in the Rice Black-streaked Dwarf Virus Prevalent Area

흑조위축병 발생지역에서 파종기에 따른 Silage 옥수수의 생산성

  • 이석순 (영남대학교 농축산대학) ;
  • 이진모 (영남대학교 농축산대학)
  • Published : 1987.09.01

Abstract

To find out the optimum planting date of silage corn in the rice black-streaked dwarf virus (RBSDV) pre-valent area, a resistant hybrid of Jinjuok and a susceptible hybrid of Suweon 19 were planted at the 8 planting dates from April 1 to June 10 at the la-day intervals. Considering escape of RBSDV and silage yield, the optimum planting date seems to be during the April in both hybrids. At the April plantings silage yield of two hybrids ranged from 17 to 23 tons/ha on the dry matter base due to a lower infection rate and higher tolerance to RBSDV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silage yield between two hybrids. At the May plantings yield of ear, stover, and silage, culm length, and digestible dry matter decreased significantly as planting date delayed due to an increase in RBSDV infection rate in both hybrids although performance of a resistant hybrid of Jinjuok was better than a susceptible hybrid of Suweon 19. At the June 10 planting RBSDV infection rate was low and performance of corn was better than that at the May plantings but poorer than that at the April plantings. The peak of small brown planthopper population occurred in late March or early April, middle June, middle July, and early September although it fluctuated a little yearly. Very low small brown planthopper population during the May may attribute to a lower RBSDV infection and high silage yields at the April plantings because the plants grow enough to be tolerant when infected by RBSDV in middle June. However, at the May plantings plants are too young to be tolerant when infected by RBSDV in middle June.

남부지방에서 옥수수 흑조위축병을 회피할 수 있는 파종기를 알기 위하여 이병성인 수원 19호와 저항성인 진주옥을 4월 1 일부터 6월 10일까지 10일 간격으로 8회 파종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흑조위축병 이병주율은 4월 1 구부터 4월 21일까지는 40 % 이하이었으나 그 후는 파종이 지연될수록 급격히 증가한 후 6월 10 일 파종에서는 다시 감소하였으며, 품종간에는 수원 19호가 진주옥보다 이병주율이 높았다. 2. 간장, 입묘율, Silage 수량, 간엽수량, 가소화건물양은 두 품종 모두 4월 1 일에서 5월 1 일 파종까지는 차이가 없었으나 그 이후는 파종이 지연될수록 급격히 감소하였고 6월 10일 파종에서는 다시 증가하였다. 품종간에는 간장, Silage 수량, 가소화건물양은 수원 19보다 진주옥이 높았으나 간엽수량은 수원 19호가 진주옥보다 높았다. 3. 주당자수수, 평균자구중, 자수수량은 수원 19호가 진주옥보다 현저히 낮았는데, 수원 19호에서 는 4월 1 일부터 5월 21 일까지는 파종이 지연될수록 급격히 감소한 후 6월 10 일 파종에서는 다시 증가하였으나 진주옥에서는 4월 1 일에서 5월1 일까지는 차이가 없었으나 그 후에는 파종이 지연될수록 점점 감소하였다. 4. 자수가 Silage 중에 차지하는 비율은 수원 19호가 진주옥보다 현저히 낮았으며, 파종기에 따른 경향은 수원 19호는 5월 21 일까지 파종이 지연될수록 감소한 후 다시 증가하였으나 진주옥은 5월11 일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 5. 애멸구 발생은 연차간 발생시기와 발생량이 다소 달랐으나 대체로 1회 발생은 3월 하순 혹은 4 월 초순, 2회발생은 6월중순, 3회발생은 7월하순, 4회발생은 9월초순이었으며, 5월중에는 발생양이 극히 적었다. 6. 흑조위축병을 회피하고 Silage 수량이 높은 옥수수의 파종적기는 4월중이었으며 이 때 Silage 수량은 두 품종 모두 17∼23 t/ha 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