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제사용수의 실태 조사

Sruvey of Raw Silk Reeling Water in Korea

  • 성재천 (국립생사검사소) ;
  • 이도 (국립생사검사소) ;
  • 이도수 (국립생사검사소) ;
  • 고춘섭 (국립생사검사소) ;
  • 최금식 (국립생사검사소) ;
  • 조원환 (국립생사검사소)
  • Sung, J. C. (National Silk Inspection Office) ;
  • Lee, D. (National Silk Inspection Office) ;
  • Lee, D. S. (National Silk Inspection Office) ;
  • Kho, C. S. (National Silk Inspection Office) ;
  • Choi, K. S. (National Silk Inspection Office) ;
  • Jou, W. H. (National Silk Inspection Office)
  • 발행 : 1987.10.01

초록

전국 각 제사공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제사용수의 수원별 수질을 분석하여 제시용수로서의 적합여부를 판정하는 동시에 수질의 개선방안을 강구코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7개업체의 제사용수원은 하천수 14개업체, 지하수 9개업체, 혼합수 4개업체이며, 혼합수의 혼합수원은 하천수와 지하수의 혼합이 3개업체, 하천수와 우물물 혼합이 1개업체였다. 2. 분포건수 42건을 수질형별로 분류하면 수검형수질이 6건, 중건형수질이 6건, 조경형수질이 11건, 유해형수질이 6건, 기타 2개수질의 중간에 해당되는 수질형이 13건이었다. 3. 제사용수로서 적합한 수질은 40%정도이고, 제사공정은 조정으로 개선가능한 용수는 30%이며 30%정도는 용수교체 또는 개질을 요하는 용수였다. 4. Total carbonate, Electric conductivity, Chloricion이 많은 용수는 가정하수, 폐기물처리장, 축사 등에 심하여 제사공정에 지장이 우려되는 용수를 사용하는 업체가 7개업체였다. 5. 전반적인 수질내용은 pH가 낮아졌고, ('70년 대비) Total hardness는 높아졌으며 Carbonic acid(H2CO3), Hydrogen carbonate(HCO3-)가 높아져 Total acidity, M-alkalinity가 높아졌으며, 용존무기질성분이 많이 검출되었다. 6. pH가는 Acidity성분인 Carbonic acid(H2CO3)와 Alkalinity성분인 Hydrogen carbonate(HCO3-) 향유비에 따라 결정되므로 sericin의 용해를 촉진 또는 억제하기 위햐여, 개질코자 할 때에는 반드시 Total carbonate를 파악한 후 수질에 따라서 적합한 pH 값으로 조정하여야 한다. 7. Total hardness와 Electric conductivity의 상관계는 r=0.9145, y=15.967+0.2774x로서 고도의 상관성이 있었으며, Electric conductivity를 일으키는 물질은 제사용수에서 calcium과 Magnesium이었다. 8. 설문조사결과 제사업체에서 문제가 되는 수질항목은 Total carbonate, pH, M-alkalinity, Iion, Acidity, Turbidit, Colority순이었다.

This investigation was carried cut to obtain the reeling water conditions in Korea. The analyzed items of water were pH, colority, turbidity, acidity, alkalinity, solids electric conductibity hardness and heavy metal ions. About 40% of the reeling water were found to be agreeable, 30% were acceptable provided with some quality control and the others were out of acceptable range mainly based on the M-alkalinity, acidity, pH and total hardnes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following relationship between total hardness and electric conductibity with the relative correlation coefficient r=0.9145. y=15.967+0.22774x Where x, y are electric conductivity and total hardness respectivel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