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idue of Harmful Heavy Metals in Swine Tissue and Feedstuff

돈육 및 양돈사료중 유해중금속의 잔류량 조사

  • 조태행 (농촌진흥청, 가축위생연구소) ;
  • 정갑수 (농촌진흥청, 가축위생연구소) ;
  • 손성완 (농촌진흥청, 가축위생연구소) ;
  • 박종명 (농촌진흥청, 가축위생연구소) ;
  • 박근식 (농촌진흥청, 가축위생연구소)
  • Published : 1987.09.01

Abstract

ABSTRACT-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sidue of the harmful heavy metals in the random samples of feed from piggery, formula feeed for swine and ingredient feed from feed mill and analyzed for Cd, Pb and As by using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and Inductively Coupled Argon Plasmas. Mean concentrations of Cd, Pb and As (ppm) were, for feed from piggery 1.08-0.85, 5.34-4.29 and 4.30-2.37, for formula feed from feed mill, 0.90-0.51, 5.84-5.25 and 2.41-0.84, and for ingredient feed from feed mill, 0.35-0.38, 4.38-4.94 and 2.66-1.12, respectively. It showed the highest amount of Cd, Pb and As in kidney and liver than in the other organs, and the lowest amount in the muscle.muscle.

본 시험을 양돈사료 및 돈육 중 유해중금속인 카드미움, 납 및 비소의 잔류량을 파악코자 경기지역 22개 양돈장, 2개 도축장 및 충남, 인천지역의 7개 사료공장을 대상으로 각각 양돈용 급여배합사료, 배합사료 및 돈육을 채취하여 원자흡광광도법과 ICAPs법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양돈장에서 채취된 금여배합사료중 카드미움, 납 및 비소의 평균잔류량(ppm)은 각각 $1.08{\pm}0.85,\;5.34{\pm}4.29\;및\;4.30{\pm}2.37$로서 대체로 낮은 수준이었다. 2. 사료공장을 대상으로 채취한 양돈용 급여사료중 카드미움, 납 및 비소의 평균잔류량은 각각 $0.90{\pm}0.51,\;5.84{\pm}5.25\;및\;2.41{\pm}0.84$로서 카드미움과 비소는 급여배합사료보다 다소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3. 각 단미사료중 유해중금속의 잔류량은 카드미움의 경우 어분, 유채박, 소맥부, 대두박 순으로 높았으며, 납의 경우 어분, 소맥부, 대두박, 어채박 순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비소의 경우에는 보리, 유채박, 어분, 대두박 순으로 나타났다. 단미사료전체를 카드미움, 납 및 비소에 대한 평균잔류량(ppm)은 각각 $0.35{\pm}0.38,\;4.38{\pm}4.94,\;2.66{\pm}1.12$로 나타났다. 4. 돈육중 유해중금속의 잔류량은 카드미움의 경우 신장의 $1.7827{\pm}1.8549ppm$으로 가장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며, 간장이 $0.3706{\pm}0.3428ppm$, 비장이 $0.1194{\pm}0.0971ppm$, 근육이 $0.0916{\pm}0.0262ppm$으로 미량 검출되었다. 납의 경우에는 간장이 $1.9106{\pm}2.9381ppm$으로 가장 높았으며 근육이 $0.1649{\pm}0.0201ppm$으로 가장 낮게 검출되었다. 비소 역시 간장 및 신장이 $2.3334{\pm}4.0160ppm\;및\;2.3319{\pm}5.1281ppm$으로 높았으며 근육에서는 $1.1557{\pm}1.1296ppm$으로 가장 낮게 검출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