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Yellowtail Myosin and Whelk Paramyosin

방어 Myosin과 갈색띠 매물고둥 Paramyosin의 물리화학적 성질

  • Pyeun, Jae-Hyeung (Department of Nutrition and Food Scienc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Choi, Yeung-Joon (Department of Nutrition and Food Scienc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변재형 (부산수산대학 식품영양학과) ;
  • 최영준 (부산수산대학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1987.02.01

Abstract

The native myosin and paramyosin extracted from the ordinary muscle of yellowtail (Seriola quinqueradita) and the adductor muscle of whelk (Neptunea arthritica cumingi) were studied for thei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Molecular weight, molar extinction coefficient at 278 nm and intrinsic viscosity were accounted for $4.6{\times}10^5$dalton, 5.44 in $E^{1cm}_{1%}$ and 1.60 dl/g in yellowtail myosin, and $2.0{\times}10^5$ dalton, 3.04 in $E^{1cm}_{1%}$ and 2.60 dl/g in whelk paramyosin, respectively. Yellowtail myosin showed a $0.342\;{\mu}mole-Pi/min/mg-protein$ of ${Ca}^{2+}-ATPase$ activity and contained 40 group-SH/mole-myosin. The ratio of polar amino acids to non-polar amino acids and that of acidic amino acids to basic amino acids were 0.54 and 1.64 in yellowtail moysin, and were 0.47 and 2.42 in whelk paramyosin, respectively.

수산동물의 근육단백질 중 특히 많은 분포를 보이며. 생리적으로 뿐만 아니라 식품학적으로도 중요한 myosin과 paramyosin을 방어 보통육과 갈색띠 매물고둥에서 추출하여 각각의 물리 화학적 성질을 비교 검토 하였다. 방어 보통육 myosin은 분자량 $4.6{\times}10^5\;dalton$, 278 nm 에서의 분자흡광계수 $B^{1cm}_{1%}$ 5.44, 고유점도 1.60dl/g 및 그 소수성에 따른 형광강도는 740이었으며, 용해도에 비추어 등전점은 pH 5.0부근이었다. 한편 갈색띠 매물고둥 paramyosin은 분자량 $2{\times}10^5\;dalton$, 278nm 에서의 분자흡광계수$(B^{1cm}_{1%})$ 3.04, 고유점도 2.60dl/g 및 그 소수성에 의한 형광강도는 468이었으며, 등전점은 pH5.6부근이었다. 그리고 방어 myosin의 ${Ca}^{2+}-ATPase$ 활성은 0.342 ${\mu}moles-Pi/min/mg-protein$이었고, 분자당 40개의 SH기를 함유하고 있었다. 아미노산 조성의 분석 결과, 방어 보통육 myosin과 갈색띠 매물고둥 paramyosin의 총아미노산의 잔기수는 단백질 1 mole당 각각 4030잔기와 1694잔기이었으며, 극성 대 비극성 아미노산의 비율은 0.54와 0.47이었고, 산성 대 염기성 아미노산의 비율은 1.64와 2.42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