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rmination behavoir of Capsella bursa-pastoris Medicus and the Density Effect on Barley Grain Yield

냉이(Capsella bursa-pastoris Medicus)의 발아특성(發芽特性) 및 발생밀도(發生密度)가 보리의 종실수량(種實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 Chang, Y.H. (Wheat and Barley Research Institute) ;
  • Ha, Y.W. (Wheat and Barley Research Institute) ;
  • Maeng, D.J. (Wheat and Barley Research Institute)
  • Published : 1986.06.30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germination behavior and the density effect of Capsella bursa-pastoris Medicus on barley yields. Seed dormancy of C. bursa-pastoris was broken on middle of July. No light was required for germination of C. bursa-pastoris seeds. Higher germination showed at $15^{\circ}C$ than at $0^{\circ}C$ or $6^{\circ}C$. Effective temperature for dormancy breakdown of seed was at $5^{\circ}C$ for 30 days rather than at $40^{\circ}C$. Reduction in barley yield showed with increasing the plant density of C. bursa-pastoris.

맥류잡초중(麥類雜草中) 냉이의 발아특성(發芽特性)과 발생밀도(發生密度)에 따른 보리의 감수율(減收率)을 구명(究明)코저 본시험(本試驗)을 실시(實施)한 바 몇가지 결과(結果) 얻었기에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1. 냉이가 낙종후(落種後) 7월(月) 중순(中旬)까지(성숙후(成熟後) 약(約) 2개월(個月))는 휴면상태(休眠狀態)에 있는 기간(期間)으로 발아(發芽)가 되지 않았으나 그 이후(以後) 8월(月)에는 80% 이상(以上) 발아율(發芽率)을 보였다. 2. 냉이의 발아온도(發芽溫度)는 $15^{\circ}C$에서 발아(發芽)가 잘 되었고 $6^{\circ}C$ 이하(以下)에서는 발아율(發芽率)이 떨어졌으며, 명암(明暗) 어느 조건(條件)에서나 발아(發芽)에는 지장(支障)이 없었다. 3. 냉이의 휴면타파(休眠打破)를 위한 저온(低溫)과 고온처리(高溫處理)는 5^{\circ}C 저온(低溫) 30일간(日間) 처리(處理)에서 40%, $40^{\circ}C$ 고온(高溫) 20일간(日間) 처리(處理)에서 25%의 발아율(發芽率)을 보여 휴면타파(休眠打破) 효과(效果)가 다소(多少) 인정(認定)되었다. 4. 냉이의 발생밀도(發生密度)가 클수록 주당협수(株當莢數)는 적었으나 $m^2$당(當) 협수(莢數)는 많았으며 발생밀도별(發生密度別) 보리의 엽면적지수(葉面積指數)는 냉이 발생지수(發生指數) 500주(株)/$m^2$까지는 직선적(直線的)으로 감소(減少)하였다. 5. $m^2$당(當) 냉이 발생밀도(發生密度) 100~100 주(株)/$m^2$의 종자생산량(種子生産量)은 1,200천개(千個)~3,000천개(千個)였으며 그 중 경작(耕作)에 의한 매몰(埋沒) 또는 불량환경(不良環境) 등(等)으로 발아(發芽)되는 것을 극(極)히 적은 0.01~0.03% 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6. 냉이의 발생밀도(發生密度)가 밀(密)할수록 보리의 감수율(減收率)은 컸으며 이는 냉이가 많이 발생(發生)하는 지대(地帶)는 냉이 발생밀도(發生密度)로서 보리 감수율(減收率)을 추정(推定)할 수 있는 자료(資料)를 얻을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