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lmes tube를 이용한 도시 주택의 옥내외 $NO_2$ 농도에 관한 조사연구

A Survey on the Level of $NO_2$ Inside and Outside Urban Homes by Palmes Tube

  • 김용완 (인제대학 의학부 예방의학교실 및 산업의학연구소) ;
  • 배기택 (인제대학 의학부 예방의학교실 및 산업의학연구소) ;
  • 김성천 (인제대학 의학부 예방의학교실 및 산업의학연구소) ;
  • 문덕환 (인제대학 의학부 예방의학교실 및 산업의학연구소) ;
  • 이종태 (인제대학 의학부 예방의학교실 및 산업의학연구소) ;
  • 김준연 (인제대학 의학부 예방의학교실 및 산업의학연구소)
  • Kim, Yong-W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Institute of Industrial Medicine, Inje College) ;
  • Pae, Ki-Taek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Institute of Industrial Medicine, Inje College) ;
  • Kim, Sung-Chu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Institute of Industrial Medicine, Inje College) ;
  • Moon, Duck-Hwa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Institute of Industrial Medicine, Inje College) ;
  • Lee, Jong-Ta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Institute of Industrial Medicine, Inje College) ;
  • Kim, Joon-You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Institute of Industrial Medicine, Inje College)
  • 발행 : 1986.05.01

초록

연자들은 동하계의 실내의 공기오염의 주인자 가운데 하나인 $NO_2$에 대하여 주택의 종류(아파트, 독립주택)와 취사용 주연료의 종류(연탄, 가스)별로 부산지역의 110개 주택을 대상으로 주택 옥내 (부엌, 거실, 침실)와 옥외의 농도를 각각 산정하여 현재의 $NO_2$ 오염정도를 파악함은 물론 실내 $NO_2$농도와 부엌환기, 가족수, 흡연등과의 관련성 및 $NO_2$의 영향(천식)에 관한 기본적 연구를 실시함으로써 $NO_2$에 의한 인체장해 예방을 위한 자료로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1984년 10월부터 1985년 9월까지 1년간이었으며, $NO_2$측정은 Palmes method에 의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동계 도시 주택의 옥내외 $NO_2$의 평균농도는 부엌 0.029($0.010{\sim}0.085$)ppm, 거실 0.022$(0.005{\sim}0.056)$ppm, 침실 0.017$(0.005{\sim}0.055)$ppm 및 옥외0.021$(0.007{\sim}0.055)$ppm등이었고, 하계에는 부엌 0.022$(0.005{\sim}0.063)$ppm, 거실 0.018$(0.005{\sim}0.056)$ppm, 침실 0.016$(0.004{\sim}0.057)ppm$ 및 옥외 0.016$(0.004{\sim}0.038)$ppm등으로 동하계 공히 부엌내 농도가 최고이었으며 하계보다 동계에 비교적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2) 주택과 취사용 주연료의 종류별 도시 주택 옥내외 $NO_2$ 평균농도는 동계의 경우 연탄을 주로 사용하는 아파트군에서 그리고 하계에는 가스를 사용하는 아파트군에서 각각 최고이었다. 3) 주택의 종류별 도시 주택의 옥내외 $NO_2$의 평균 농도는 동하계 공히 독립주택군에 비하여 아파트군에서 비교적 높았다. 4) 취사용 주연료의 종류별 도시 주택 옥내외 $NO_2$의 평균농도는 동계에는 연탄을 주로 사용하는 경우, 그리고 하계에는 가스를 주로 사용하는 경우에서 각각 비교적 높았다. 5) 부엌 환기 여부, 가족수, 부모의 흡연여부 및 소아 천식병력 유무에 따른 도시 주택 실내 $NO_2$의 평균 농도는 각 속성에 따라 다소의 차이를 보였으나 대부분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For many years, $NO_2$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elements among indoor air pollutants of urban homes, leading to increased public concerns on this gas. For the purpose of preparing the fundamental data for the evaluation and control of health effect relevant to $NO_2$ levels, authors measured the indoor (kitchen, living room, bed room) and outdoor $NO_2$ levels categorized by the type of house(apartment, detached dwelling) and cooking fuel(L.P.G., briquette) in the winter and summer, and surveyed the variables(kitchen ventilation, family size, parental smoking) may effect the indoor $NO_2$ levels. The level of $NO_2$ was measured by Palmes tube, and this survey was carried out at 110 homes in the Pusan area from October 1984 to September 1985.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indoor and outdoor $NO_2$ level in winter and summer, respectively, was $0.029{\pm}0.012$ ppm and $0.022{\pm}0.012$ ppm in the kitchen, $0.022{\pm}0.009$ ppm and $0.018{\pm}0.010$ ppm in the living room, $0.017{\pm}0.008$ ppm and $0.016{\pm}0.010$ ppm in the bed room, and $0.021{\pm}0.007$ ppm and $0.016{\pm}0.007$ ppm outdoors. 2) In the category of the type of house and cooking fuel, the highest mean indoor and outdoor $NO_2$ level in the winter was in apartments using briquettes, and in the summer. the highest level was in apartments using L.P.G. 3) In the category of the type of house, the mean indoor and outdoor $NO_2$ level in the winter and summer was higher in the apartment group compared to detached dwelling. 4) In the category of the type of cooking fuel, the mean indoor and outdoor $NO_2$ level in the winter was higher in the briquette group, and in the summer, the L.P.G. group was higher. 5) In the category of the kitchen ventilation, family size, parental smoking and asthma attack history of children, there was an in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door $NO_2$ level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