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一部) 도시(都市), 농촌(農村), 해안지역(海岸地域) 주민(住民)의 B형간염(型肝炎) 표면항원(表面抗原) 양성률(陽性率)에 관(關)한 비교연구(比較硏究)

A Study on the Positivity of HBsAg in Urban, Rural and Coastal Area

  • 손석준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Sohn, Seok-Jo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Medical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86.05.01

초록

우리나라에서는 국면 10%정도가 B형간염환자나 보균자로 추정되고 있으며 매년 신생아에 있어서의 발병률과 보균자 접촉에 의한 신환자의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는 B형간염 바이러스 표면항원 검사 중 최근 널리 임상에서 이용되고 있는 역수신혈구응집법을 사용하며 일부 도시, 농촌, 해안지역 주민 2,849명을 대상으로 혈청내 간염 표면항원 양성률을 조사하여 연령별, 성별 역학적 인자와의 관계 및 세지역의 분포양상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사대상 2,849명 중242명이 양성을 나타내어 간염 표면항원 양성률은 8.49%였으며 남자가 9.07%, 여자가 6.79%로 남녀의 성비는 1.34 : 1이었다. 2) 지역별로는 도시지역의 8.67%, 농촌지역 7.43% 해안지역 8.37%로 도시, 해안, 농촌지역의 순이었으나 지역별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성별로는 도시지역에서 남자 9.26%, 여자 6.44%로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농촌, 해안지역에서는 남녀간에 비슷한 양성률을 보였다. 4) 연령별로는 도시에서 30대가 9.26%로 가장 높았으며 20대, 40대, 50대 순으로 나타났으며 농촌지역에서는 50대가 11.70%로 가장 높았고 해안지역에서는 30대와 40대에서 각각 10.94%로 가장 높았다. 전체적으로 남자에서는 20대, 30대, 40대 순으로 높고 연령이 증가하면서 감소하였고 여자에서는 50대에서 높은 양성률을 보였다. 5) 간염 표면항원 양성자 중 SGOT치가 정상보다 상승된 경우는 13.6%로 대부분 남자에서 나타났으며 음성자에서 상승된 경우인 3.4%보다 의의있게 높았다. 따라서 양성자의 대부분은 B형간염의 만성보균자, 급성바이러스 잠복기, 건강 보균자로 추정되었다.

It is well known that Korea is one of the endemic area for type B viral hepatitis. A screening test for HBsAg by RPHA method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HBsAg among urban, rural and coastal area population during the period between Jan. 1985 and Aug. 1985.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HBsAg was detected in 242 among 2,849 with positive rate of 8.49%. The positive rate by sex showed higher rate in males(9.07%) than females(6.79%) for HBsAg. But these differences by sen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2) By living area, the positivity of HBsAg was 8.67% in urban, 7.43% in rural and 8.37% in coastal area.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3) The positivity differences of HBsAg were significantly observed between male(9.26%) and female(6.44%) in urban area. But there was not in rural and coastal area. 4) The positivity was the highest in 4th decade in urban area. But 6th decade in rural and 4th and 5th decade in coastal area. Generally the positivity of HBsAg was more prevalent in young age and decreasing by the age increasing in the male. But in the female it was most common in 6th decade. 5) Elevated SGOT(>40 Uni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HBsAg positive group(13.6%) than in HBsAg negative group(3.4%).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