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로원 재원노인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II. 우울증을 중심으로

A study on Depression in the Elderly at the Home for the Aged

  • 박병탁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김진성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박형배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권복순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이중훈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이종범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정성덕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Park, Byung-Tak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Jin-Sung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Park, Hyung-Bae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won, Bok-Soon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Jung-Hoon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Jong-Bum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Cheung, Seung-Douk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발행 : 1986.06.30

초록

1986년 6월부터 1986년 8월까지 대구직할시 및 경상북도내 소재된 9개 양로원 재원노인 29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Zung의 자가평가 우울척도상 평가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울척도의 총점은 남자노인 $38.80{\pm}11.92$, 여자노인 $43.21{\pm}14.33$이었으며 남녀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2. 우울의 항목별 성적은 남녀노인 공통으로 절망감, 무가치감, 공허감, 혼동 등에서 높았고, 항목별 남녀간 비교에서 여자노인군이 남자노인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은 성적을 보인 항목은 울음, 빈맥, 식욕감퇴, 주간 감정변화 등 4개 항목이었다. 3. 우울성적 분포는 50점 이상 고득점자가 남자노인 9명(16%), 여자노인 47명(33%) 등 56명(29%)으로 여자노인군에서 더 많은 수를 보였다. 4. 우울과 관련된 사회정신의학적 요인들중 남녀노인군에서 공통적으로 영향력을 미친 요인은 연령의 증가, 군 이하의 출생, 대도시에서의 성장 등이었으며, 남자 노인군보다 여자 노인군에서 우울성적이 유의하게 높게 나온 요인은 무직, 무학, 면에서의 성장, 종교시 천주교나 기독교의 경우와 사별(P<0.05), 흡연을 하는 경우 등이었다.

The authors studied depression, using Zung's self-rating Depression Scale(SDS), in the subjects of 65 males and 231 females at the homes for the aged in Taegu and Kyong-buk areas. The authors collected the data of SDS during the period from June to August, 1986, and applied ANOVA and t-test on the depression scores in order to compare them between various psychosocial factors and sexes. The result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he mean average of total depression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elderly males scored $38.80{\pm}11.92$, elderly females scored $43.21{\pm}14.33$(P<0.05). The depression scores in the items of hopelessness, personal devaluation, weight loss, emptiness and confusion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e scores in the other items in both groups. Nine elderly males(16%) showed seriously high depression scores of 50 and over, while fourth-seven elderly females(33%) showed the same scores. Among these psychosocial factors, age, birth place, and growing place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higher depression scores in both group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