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남해안 동부 해역 해조 군집 구조 및 변동의 정량적 분석 1. 연화도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Benthic Marine Algal Communities at the Southern Coast of Korea 1. Yonhwa-do, near Chungmu

  • 손철현 (부산수산대학 양식학과) ;
  • 이인규 (서울대학교 자연대 식물학과) ;
  • 강제원 (부산수산대학 자원생물학과)
  • SOHN Chul Hyun (Department of Aquacultur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LEE In Kyu (Department of Botan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ANG Jae Won (Department of Marine Bi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발행 : 1986.05.01

초록

본 연구는 한국 남해안 동부해역의 해조군집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그 변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이 해역을 대표 할 수 있다고 보여지는 경남 통영군 욕지면 연화도에 선정한 8개 지점에서 1984년 12월부터 1986년 1월사이에 수행되었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출현 해조류는 남조류 2종($1.8\%$), 녹조류 18종($15.8\%$), 갈조류 25종($21.9\%$) 그리고 홍조류 69종($60.5\%$)으로 모두 114종이었다. 2. 홍조류 종수에 대한 갈조류 종수의 비 (R/P 값)은 2.8로 남해안 연안쪽보다 높게 나타났다. 3. 해조류의 기능형군별 구성비는 계절적으로는 봄 겨울에는 사상형과 막상형이 우세하고, 여름과 가을에는 직립분기형과 다육질형이 우세하였다. 그리고 지점별로는 파도가 적은 내만쪽에서 막상형과 각상형이 우세하고, 파도가 강한 쪽에서 직립분기형과 다육질형이 우세하였다. 4. 군집의 유사도 분석 결과, 유사도 $30\%$ 수준에서 봄에는 5개군, 여름, 가을 및 겨울에는 3개군으로 나타났고, 이들은 파도의 강약, 계절풍의 영향정도에 따른 특성을 갖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5. 전 조사기간을 통하여 전 지점에서 중요도 10이상인 종은 Porphyra suborbiculata (30.1), Corallina pilulifera (27.8), Hizikia fusiforme (27.7), Sargassum thunbergii, (27.5), Undaria pinnatifida (22), Ishige okamurai (20.6), Chondria crassicaulis (20), Ulva pertusa (16), Pseudulvella consociata (15.7), Urospora penicilliformis (15), Sargassum sagamianum (14.9), Caulacanthus okamurai (12.8), Gloiopeltis furcata (12.7), Sargassum micracanthum (11.7), Myelophycus simplex (11.2) 이었고, Melobesioideae가 25.7이었다. 6. 무절석회조 순군집의 빈도 및 피도는 각각 $44.6\%$$75\%$였고, 무절석회조와 다른 해조가 혼생하는 군집의 빈도 및 피도는 각각 $55.4\%$$65.8\%$로서 혼생하는 군집의 피도가 약간 낮았다. 7. 무절석회조와 다른 해조류가 혼생하는 군집의 출현빈도나 피도가 높은 종은 Corallina pilulifera, Gelidium amansii, Sargassum sagamianum, S. thunbergii, Hizikia fusiforme, Laurencia spp. 등으로 기능형으로는 주로 직립분기형이나 다육질형이었다. 8. 점심대지역에서의 무절석회조의 높은 피도율은 명확하지는 않으나 식해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The marine algal communities of Yonhwa-do at the southern coast of Korea were investigated in aspects to quantitative analysis of their structure and dynamics. As a result, 114 species, including 2 blue-green, 69 red, 25 brown and 18 green algae, were identified. The R/P value(2.8)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regions of the southern coast of Korea. Sheet and filamentous groups of the functional groups of algae showed higher composition rate in spring and summer than in autumn and winter, but coarsely branched and thick leathery groups showed an opposite tendency. Cluster analysis based on species presence suggested the existence of 5 distinct groups in spring, but 3 groups in the other seasons. The species exhibiting important value above 20 were as follows: Porphyra suborbiculata, Corallina pilulifera, Hizikia fusiforme, Sargassum thunbergii, Undaria pinnatifida, Ishige okamurai, Chondria crassicaulis, and crustose coralline algae. The coverage of algal communities composed only of crustose coralline algal complex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algal complex, but occurrence frequency of these two communities was indifferent. It is suggested that the occurrence in high quantity of crustose coralline algae from this area is related to grazing by herbivorous animal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