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imulation of Daily Precipitation Considering Spatial Probability Characteristics

공간적(空間的) 확률구조(確率構造)를 고려(考慮)한 일강수량(日降水量)의 모의발생(模擬發生)에 관한 연구(硏究)

  • 이재준 (연세대학교 대학원) ;
  • 이원환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Received : 1986.05.02
  • Published : 1986.09.30

Abstract

The probabilistic model was developed to give a spatial simlation of precipitation series to solve the problem of future need of water resources. The simulation of daily precipitation series at the sub-base stations was induced from the spatial structure of rainfall occurrence probability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sub-base stations in the watershed. In this study Hadong was chosen as the base station in Seomjin river basin and Imsil, Boseong, Soonchang, Dongbok, and Gurye were also selected as the sub-base st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eparation technique of spatial precipitation state showed effectiveness in the spatial simulation method because the occurrence probability by each precipitation state (Wet-Wet, Dry-Wet, Wet-Dry, and Dry- Dry system) represented the stable value. 2) The daily precipitation series of the sub-base stations which were simulated from those of the base station showed that the simulated annual mean precipitations were similar to the observed data, but the precipitations in summer were decreased slightly. 3) The correlogram and power spectrum of the simulated monthly precipitation for the sub-base stations showed those of the observed sample with good agreement.

본(本) 연구(硏究)는 장래(將來) 예상(豫想)되는 유역내(流域內)의 수자원(水資源) 수요문제(需要問題)에 대처(對處)하여 수자원(水資源)의 기초(基礎)가 되는 강수(降水)를 공간적(空間的)으로 모의발생(模擬發生)(Simulation)하기 위한 모델을 개발(開發)한 것으로서, 유역(流域)의 중심(中心) 관측소(觀測所)인 기간관측소(基幹觀測所)와 그 주변의 준기간(準基幹) 관측소간(觀測所間)의 강수현상(降水現像)에 대(對)한 공간적(空間的) 확률구조(確率構造)로부터 준기간(準基幹) 관측소(觀測所)의 강수계열(降水系列)를 모의발생(模擬發生)하였다. 섬진강 유역(流域)을 대상(對象)으로 기간(基幹) 관측소(觀測所)로는 하동(河東)을 택(擇)하고 준기간(準基幹) 관측소(觀測所)로는 임실, 보성, 순창, 동복, 구례를 택(擇)하여 강수(降水)의 공간적(空間的) 모의발생(模擬發生) 모델을 검토(檢討)하였으며 얻어진 성과(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강수상태(降水狀態)의 공간적(空間的) 분리(分離)는 강수상태별(降水狀態別)(강수(降水)-강수계(降水系), 무강수(無降水)-강수계(降水系), 강수(降水)-무강수계(無降水系), 무강수(無降水)-무강수계(無降水系)) 발생확률(發生確率)이 안정(安定)된 값을 보여 공간적(空間的) 모의발생시(模擬發生時) 유효(有効)한 방법(方法)임을 알았다. 2) 기간(基幹) 관측소(觀測所)의 일강수계열(日降水系列)로부터 모의발생(模擬發生)한 준기간(準基幹) 관측소(觀測所)의 일강수계열(日降水系列)은 연평균(年平均) 강수량(降水量)의 경우(境遇) 관측치(觀測値)와 비슷한 결과(結果)를 보였으나, 하계(夏季)의 강수량(降水量)은 약간(若干) 과소(過少)하게 나타났다. 3) 준기간(準基幹) 관측소(觀測所)의 월강수량(月降水量)에 대한 Correlogram과 Power Spectrum은 관측표본(觀測標本)과 잘 맞고 있어 주기성(周期性)의 재현(再現)은 충분(充分)한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과학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