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ffects of Dietary Fat Sources on the Plasma and Liver Cholesterol Levels in Young Chicks

지방공급원이 병아리의 혈액 및 간 Cholesterol 함량에 미치는 영향

  • 최인숙 (숙명여자대학교 가정대학 식품영양학과) ;
  • 지규만 (고려대학교 농과대학 축산학과) ;
  • 오미향 (고려대학교 농과대학 축산학과)
  • Published : 1986.11.01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sources of dietary fats on the blood and liver cholesterol(CHOL) levels in young Single Comb White Leghorn male chicks, In experiment 1, corn oil, palm gil, tallow and fish oil were added individually at a level of 4% to semipurified type diets composed of isolated soyprotein and glucose as major components. The diets were fed ad libitum for a period of 15 days. In experiment 2, various fats such as corn oil, soybean oil, repeseed oil, palm oil, tallow, fish oil and hydrogenated fish oil(HFO) were added individually at a level of 11.4% to practical type diets primarily based on corn and soybean meal. Control diet contained 3% of corn oil. All these diets were formulated to contain equivalent amount of nutrients such as protein, vitamins and minerals on a basis of unit kcal of metabolizable energy. The third Experiment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calorie/protein(C/P ratio) of diets on the performances and various biological parameters in the chicks. Control diet was the same as in experiment 2. Another diet was added with 11.14% corn oil(C/P ratio=146) and the other diet with 10% corn oil(C/P ratio=164), The diets in experiment 2 and 3 were fed ad libitum for 26 days. In the first experiment, the chicks fed the diet containing vegetable oils tended to grow faster and show better feed efficiency without significance than those fed diets added with animal fats. However, this tendency was not observed in the experiment 2. Birds consumed the diets added with fish oil appeared to have heavier liver weight and higher liver CHOL than the others(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blood CHOL and triacylglycerol(TG) were observed among the chicks of various dietary groups(Exp. 1). Weights of liver or heart were significantly heavier in the chicks consumed the diets added with HFO or fish oil, respectively(Exp. 2). However, chicks ingested diet containing fish oil appeared to have significantly lower plasma CHOL.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levels of liver CHOL and plasma TG among the dietary groups. Birds consumed the diet with a wider C/P ratio resulted in higher liver TG levels in experiment 3(p〈0.05). Although no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the various dietary groups, chicks fed the diet with a wider C/P ratio tended to show higher levels of plasma CHOL, TG, liver CHOL and total liver lipids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본 실험에서는 식물성이면서 포화도가 높은 팜유와 동물성이면서 불포화도가 높은 어유를 병아리에 섭취시켜 혈액과 간내의 cholesterol 및 TG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그 결과 에너지 섭취량은 각 첨가 지방의 에너지가가 g당 9kcal로 가정하고 다른 원료 사료들은 각각의 대사에너지 함량을(Scott, 1976) 기준해서 계산하였는데 그 결과 지방 첨가 수준이나 첨가 지방의 종류에 관계없이 에너지 섭취량이 전반적으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체중 증가량도 대체로 처리간에 통계적인 처리가 없었고, 단지 실험 1에서 동물성 지방급여구가 식물성 지방급여구보다 유의하게 적게 나타났다. 그리고 체중 100g당의 무게로 나타냈을때 간의 무게는 실험 1의 어유구와 실험2의 경화어유구에서 각각 가장 무거웠고, 심장의 무게는 실험2에서 두 어유구가 모두 가장 무겁게 나타났다. 한천 간장의 총지방 함량은 실험2에서 우지구가 팜유구보다 유의하게 더 많았다. 고리고 간장의 cholesterol 함량은 실험1에서만 어유구가 팜유나 우지구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혈액 cholesterol 함량은 실험2에서 어유구가 가장 낮았다(P〈0.05). 또 간장의 TG함량은 실험2에서 채종유, 우지 및 경화어유구등이 팜유구보다 더 높았고, 실험3에서는 C/P 비율이 164인 구가 대조구보다 간에 더 많은 TG를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P〈0.05). 그러나 혈액 TG는 전반적으로 개체 변이가 심해서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다시 첨가된 각 지방별로 요약하면, 옥수수유, 대두유, 채종유등은 여러 측정치에서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고, 채종유의 경우에는 심잠의 무게를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했었으나 그렇지 않았다. 그리고 팜유는 우지나 경화어유보다 간의 총지방 함량이나 간장의 TG를 더 낮추는 효과를 보였고 cholesterol에 대한 효과도 다른 식물성 지방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어유는 실험 1에서 간의 중량을 무겁게 하고, 간내의 cholesterol 함량을 높였는데 실험2에서는 심장의 무게를 각각 무겁게 했고 한편 혈액 cholesterol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뜨렸다. 그런데 실험 1과 2에서 사용된 어유는 각각 다른 source에서 구한 것으로서 여러 어종의 것이 아니기 때문에 비교하기가 곤란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