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종(數種)의 목재부식성(木材腐蝕性) 담자균류(擔子菌類)의 포자생산성(胞子生産性)에 침수(侵水)가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Water Logging on Spore Productivity of Selected Lignicolous Basidiomycetes

  • Okhuoya, J.A. (Department of Botany, University of Benin) ;
  • Harvey, R. (Department of Plant Science, University College, Cardiff CFI IXL Wales, U.K.)
  • 발행 : 1986.09.30

초록

몇가지 목재부식성(木材腐蝕性) 담자균류(擔子菌類)의 포자(胞子)를 시간별로 수중(水中)에 담그는 방법(方法)을 사용하여 포자(布子)를 발아(發芽)시켜본 결과(結果) 한가지 균주에서 포자 발아가 억제 되었다. 침수시간(浸水時間)을 증가시킬수록 포자 발아가 증가(增加)된 균주는 5종(種)이었으며 포자발아가 전혀 일어나지 않는 균주는 1종(種)이었다. 이것은 포자(布子)의 원래 성질(性質) 및 항상성(恒常性)과 관계가 깊었다. 모든 시험균주는 침수(侵水) 직후(直後)가 최대(最大) 수분(水分) 흡수율(吸水率)을 나타내었으며 침수시간이 경과할수록 수분 흡수율은 저하하였다. 포자의 탈수속도(說水速度)를 비교한 결과, 2종(種)의 포자는 신속히 수분을 상실하였으나, 3(種)의 포자는 완만히 수분을 상실하였다. 즉 부피가 크고 단단한 포자보다 작으면서 섬세한 포자의 탈수속도(脫水速度)가 컸다.

Spore production mechanism of selected lignicolous basidiomycetes was inhibited by soaking their sporocarps in water for varying periods. Depending on the duration of immersion, some species resumed spore discharge, while in others it was completely ruined. This was related to the nature and consistency of these sporocarps. All the species studied absorbed water quite readily into their sporocarps. The loss of this water through dehydration was more rapid in smaller and delicate species than the bulky and robust on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