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의 몇가지 다형적(多形的) 동위효소(同位酵素)의 유전분석(遺傳分析)(II) - Acid phosphatase, alcohol dehydrogenase와 catalase 동위효소(同位酵素)의 유전양식(遺傳樣式) -

Genetic Analysis of Some Polymorphic Isozymes in Pinus densiflora(II) - Inheritance of acid phosphatase, alcohol dehydrogenase and catalase isozymes -

  • Kim, Z.S. (College of Agriculture, Korea University) ;
  • Hong, Y.P. (College of Agriculture, Korea University)
  • 투고 : 1985.02.15
  • 발행 : 1985.04.30

초록

소나무의 acid phosphatase (ACP), alcohol dehydrogenase (ADH)와 catalase (CAT) 동위효소(同位酵素) 유전양식(遺傳樣式)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배유조직(胚乳組織)을 수평식 감자전분 전기영동법에 의하여 분석(分析)하였다. ACT 동위효소(同位酵素)는 최소한 3~4개의 지역(地域)으로 분리(分離)되었으나 분리가 잘된 ACP-A 지역(地域)의 동위효소(同位酵素)만이 분석(分析)되었다. ACP-A 지역(地域)에서 관찰된 5개(A1-A5)의 동위효소(同位酵素) 표현형(表現型)들은 공히 Mendel의 분리비(分離比)를 보여 이들이 각각 ACP-A 유전자좌(遺傳子座)에 존재(存在)하는 5개의 대립유전자(對立遺傳子)에 의해 지배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개의 ADH 지역(地域)이 (ADH-A와 ADH-B) 분리(分離)되었으나, 양극(陽極)으로의 이동(移動)속도가 빠른 ADH-A 지역(地域)에서는 분석(分析)에 사용된 재료(材料)에서 변이(變異)가 발견(發見)되지 않았다. ADH-B 지역(地域)에서는 3개의 동위효소(同位酵素) 표현형(表現型) (B1-B3)들이 관찰되었고 이들이 공히 1:1의 분리비를 보여 ADH-B 유전자좌(遺傳子座)에 존재하는 3개의 대립유전자(對立遺傳子)에 의해 지배됨이 추정되었다. 수개의 band로 구성된 5개의 동위효소(同位酵素) 표현형(表現型)이 CAT에서 관찰되었으며, 이형접합성(異型接合性)인 모수(母樹)에서 이들 표현형간(表現型間)의 분리(分離)가 1:1 분리비(分離比)로부터 편차(偏差)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소나무에 있어서 CAT 동위효소(同位酵素)는 5개의 대립유전자(對立遺傳子)가 존재(存在)하는 하나의 유전자좌(遺傳子座)에 의해 지배되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Megagametophyte tissues of Pinus densiflora were subjected to study the inheritance of acid phosphatase (ACP),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catalase (CAT) isozymes by starch gel zone-electrophoresis. At least three or four zones were segregated for ACP isozyme. However, as one isozyme of ACP-A zone was separated clearly, only that isozyme was analysed. Five isozyme phenotypes (A1-A5), observed in ACP-A zone, were segregated to a simple Mendelian ratio, suggesting that these are controlled by five codominant alleles existed at ACP-A locus. Two zones of activity were segregated in the gels after staining for ADH, the more anodal zone (ADH-A) of the two was invariant in our materials. Three isozyme phenotypes (B1-B3) were observed in ADH-B zone and these variants showed a 1:1 segregation pattern, suggesting that each variant is controlled by three codominant alleles at ADH-B locus. A total of five isozyme phenotypes, composed of multiple bands, were observed in CAT isozyme. The segregation of these phenotypes in heterozygous tree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eviation from a 1:1 segregation. Therefore, the genetic control of CAT isozyme in Pinus densiflora seeds seems to be based on a single locus (CAT-A) with Five codominant alleles ($A_1-A_5$).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Foun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