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Marketing of Broilers

육계의 유통에 대한 조사연구

  • Published : 1985.11.01

Abstract

This studies were carried out to obtain the information on the establishment of marketing of broilers. The data for these studies were collected from 16 whole sale traders, 25 retail stores, 12 supermarkets and 3 direct-sales stall located at the suburbs of Seoul, Daejon, Gwangju and Busan. 1. Chickens were generally sold and named for a Spring chicken(0.6-0.9kg), a Boiled chicken of ginseng (1.0-l.3kg), a Semi-bro (1.3-l.7kg) or High-bro(1.8-2.1kg) by their body weight, However, those names were not uniform. 2. Since 47.5% of High-bro chickens, 60.0% of Spring chickens and 16.7% of Semibro chickens were used for domestic use and 66.7% of Semi-bro chickens was taken by butchers, it seemed that most chickens except Highbro and Spring chicken were distributed via butchers. 3. In most cases(75%) when the carcasses were sold a exact measurement was taken, but in some cases(18.8%) eye measurement was still used. 4. For the standardization of carcasses, 37.5% of the answered were for that and 50% of them wanted a gradual standardization and 66.5% of the answered wanted chicks sold by parts.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육계 유통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서울근교, 대전근교, 광주근교 및 부산근교에 소재하고 있는 도매상 16개소, 소매상 25개소 슈퍼마켓 12개소 및 자체직매점 3개소를 대상으로 설문서를 작성하여 방문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육계의 유통규격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1. 육계의 유통 종류별 중량은 영계가 0.6-0.0kg, 삼계탕용 1.0-1.3kg, 세미브로는 1.3-1.7kg, 하이브로가 1.8-2.1kg 등으로 구분유통되고 있으나 유통과정중의 육계 종류별 명칭이 통일되어 있지 않았다. 2. 소비자 측면에서 본 육계의 종류별 기호성은 하이브로와 노계는 가정집에서 각각 47.5%, 60.0%를 소비하며, 세미브로는 음식점에서 67.7%, 가정집에서 16.7% 등으로 나타나 하이브로와 노계를 제외한 종류들은 음식점을 통한 소비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도계품의 판매방법은 정확히 게량하여 판매하는 경우가 75.0%로 나타나 높은 편이지만 아직도 적당히 목칙으로 판매하는 경우가 18.8%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도계품의 규격 설정화 문제에 대해 찬성하는 경우가 37.5% 그리고 점진적으로 규격화 하자는 의견이 50.0%로 나타났으며 부분육으로의 판매방법에 대해 서서히 하거나 적극적으로 추진하기를 원하는 경우가 66.7%를 차지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