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비에 따른 한국잔디의 하추기 생육특성에 관한 연구

Summer-Autumn Growth Characteristics of Korean Lawn Grass in Response to Fertilizer Supply

  • 발행 : 1984.03.30

초록

자연상태(自然狀態)의 지지(芝地)를 대상(對象)으로 시비(施肥)가 한국(韓國)잔디에 있어 지상부위(地上部位)와 지하부위(地下部位)의 생산성(生産性) 및 하추기(夏秋期)의 생장추이(生長推移)에 미치는 효과(效果)를 구명(究明)하기 위해 1983년(年) 6월(月)부터 10월(月)까지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 한국잔디에 있어 최고(最高) 건물량(乾物量)은 무비구(無肥區) 및 시비구(施肥區) 공(共)히 8월상순(月上旬)에서 얻어졌으나 시비(施肥)에 따른 건물량(乾物量)의 차(差)는 커서 무비구(無肥區)에서 $m^2$당 64.3g, 시비구(施肥區)에서 $m^2$당 157.9g으로 시비(施肥)를 함으로서 약 2.5배가 더 증가하였다. 2. 한국잔디를 포함한 전식생(全植生)의 건물량은 시비(施肥)의 영향을 크게 받아 시비구(施肥區)에서 9월하순(月下旬)에 $m^2$ 당 312.7g의 최고 건물량을 기록하였으며 이는 무시비(無施肥)에 비해 2.3배나 되는 높은 증가율이었다. ,3. 시비(施肥)에 의해 한국잔디의 엽(葉) 및 비동화부위(非同化部位) 건물량(乾物量)은 증가되었으나 구성비면(構成比面)에서 볼 때 엽부위(葉部位)가 차지하는 비율(比率)은 시비구(施肥區)에서 감소(減少)하였다. 4. 전식생(全植生)의 건물량중(乾物量中) 한국잔디가 차지하는 비율은 시기(時期)가 경과될수록 유의적(有意的)으로 감소(減少) 되었으며 이 현상(現象)은 시비(施肥)를 하므로서 더욱 촉진(促進)되었다. 5. 시비(施肥)는 한국잔디의 분얼경을 증가시켰을 뿐만 아니라 최고치(最高値)에 달(達)하는 시기(時期)도 시비(施肥)에 의해 더 연장되었다. 6. 한국잔디 근경(根莖) 건물량(乾物量)은 지상부위(地上部位)와 유사(類似)하여 8월하순(月下旬)부터 9월상순(月上旬)에 이르는 기간동안 가장 높았다. 시비구(施肥區)에서 최고(最高) $m^2$ 당 259.7g이었고 무비구(無肥區)에서는 $m^2$당 194.2g으로 시비(施肥)에 의해 33.7%가 증가하였다. 7. 한국잔디 근중(根重)은 무비구(無肥區)에서 최대(最大) $m^2$ 당36.7g, 시비구(施肥區)에서 $m^2$당 80.9g이었다.

The influence of fertilizer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in Korean lawn grass was studied from June through October in a experi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aximum dry matter weight of Korean lawn grass was achieved in early in early August when it was $64.3g/m^2$ without fertilizer and $157.9g/m^2$ with fertilizer. On the other hand, the dry matter weight of whole plant including Korean lawn grass reached the maximum in late September, which was late, to some extent, compared with that if pure Korean lawn grass, presumably associated with seed maturing period of $C_4$ type plants. 2. Notable positive effect on leaf blade and non-leaf part weight in Korean lawn grass was also detected. However, the rate of dry matter occupied by non-leaf part was markedly increased by fertilizer application. 3. The dry matter portion occupied by Korean lawn grass the in total dry matter weight of whole plan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s time went by, particularly in case of fertilizer application. 4. Fertilizer, which might imply an increased potential of tiller numbers according to fertilizer. 5. In general, the seasonal change pattern of the rhizome of Korean lawn grass coincided with that of the aboveground organs: Its maximum dry matter weight achieved from late August to early September was $194.2g/m^2$ with nil fertilizer, and, with fertilizer, $259.7g/m^2$, of which figures were equivalent to be increased to 33.7%, compared to that with nil fertilizer. Applying fertilizer increased the weight of root: The highest values were $36.7g/m^2$ with nil fertilizer and $80.9g/m^2$ with fertilize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