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수재래종 웅성불임 및 자식계통의 생육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gronomic Characteristicks in Native Varieties , Maie Sterile and Indred lines of Sorghum

  • 한흥전 (농촌진흥원 축산시험장) ;
  • 양종성 (농촌진흥원 축산시험장) ;
  • 안수봉 (농촌진흥원 축산시험장)
  • 발행 : 1984.03.30

초록

사료용(飼料用)수수의 품종개량(品種改良)을 목적(目的)으로 미국(美國)으로부터 도입(導入)한 22품종(品種)의 웅성불임계통(雄性不稔系統)과 58품종(品種)의 자식계통(自殖系統)을 1978년(年) pot 재배(栽培)하였고 80품종(品種)의 재래종(在來種)은 동년(同年) 포장(圃場)에 재배(栽培)하여 조사(調査)한 각(各) 품종(品種)들의 특성(特性)을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각군(各群) 모두 7월(月)22${\sim}$26일(日) 사이에 출수(出穗)하는 품종(品種)들이 가장 많았고 7월(月)17${\sim}$31일(日) 사이에는 군별(群別)로 $69{\sim}86%$에 달(達)하는 품종(品種)들이 출수(出穗)하였다. 모든 품종(品種)들이 개화(開花)는 출수(出穗) $3{\sim}5$일후(日後)에 시작(始作)하며 재래종(在來種)은 품종별(品種別)로 출수(出穗) 및 개화기(開花期)의 변이폭(變異幅)이 대단히 넓다. 2. 초장(草長)은 웅성불임계통(雄性不稔系統)이 $86{\sim}114cm$, 자식계통(自殖系統)이 $81{\sim}190cm$, 재래종(在來種)은 $142{\sim}289cm$였다. 평균엽신장(平均葉身長) 웅성불임(雄性不稔) 및 자식계통(自殖系統)이 $52.2{\sim}53.4cm$이고 재래종(在來種)이 70.7cm로 가장 길었다. 평균(平均)줄기직경(直徑)은 웅성불임(雄性不稔) 및 자식계통(自殖系統)이 $8.81{\sim}7.74mm이고 $ 재래종(在來種)이 11.3mm였다. 3.각군품종(各群品種)들의 줄기직경(直徑)은 엽장(葉長) 및 엽폭(葉幅)과 고도(高度)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고 거의 모든 품종(品種)의 절간장(節間長)은 초장(草長)과 밀접(密接)한 관계(關係)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래종(在來種)은 거의 모든 특성(特性)을 상호간(相互間)에 높은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다.

For the forage sorghum breeding, 22 American M.S. lines and 58 inbred lines were sown in pots, and 80 local varieties in field in 1978. Their agronomic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 1. All of the tested lines/varieties were headed from 22nd to 26th of July. Varieties of 69-86% were headed from 17th to 31st of July. All of lines/varieties began their flowering within 3-5 days after heading and native varieties had wide variance in heading and flowering. 2. The plant height of M.S. lines, inbred lines and local varieties were 86-114 cm, 81-190 cm and 142-289 cm, respectively. Leaf blade length of M.S. lines and inbred lines were ranged from 52.2 to 53.4 cm and local varieties 70.7 cm. Average stem diameter of M.S. lines and inbred lines were ranged from 8.81 to 7.74 mm and local varieties 11.3 mm. 3. Stem diameter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leaf length and leaf blade width. The internode length were also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lant height. Especially, all characteristics in local varieties we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키워드